수산물이 가장 큰 타격, 국산 수산물 비중도 감소

[컨슈머치 = 최은혜 기자]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2011년3월) 발생한지 3년6개월이 지난 뒤에도 우리 국민의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불안감은 가시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소비자원이 지난해 9월 수도권 거주 성인 남녀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92.6%가 ‘일본 원전사고 뒤 방사능 누출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했다. 이 결과는 6일 오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방사능 식품안전 포럼’(주최 한국소비자원, 주관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에서 발표됐다.

   
 

일본 원전 사고와 관련해 우리나라 소비자 걱정거리 1위는 일본산 수산물(52.9%)이고, 다음은 일본산 농수산물ㆍ식품(18.5%), 방사능 비ㆍ대기에 의한 인체 직접 노출(17.5%), 국내 수돗물ㆍ식수 오염(5.4%), 토양오염을 통한 국내 농산물 오염(4.1%) 등의 순서였다.

일본 원전 사고가 발생한지 3년 반이 지난 뒤에 실시한 조사인데도 본인ㆍ가족의 건강을 위해 일본산 식품 섭취를 자제하는 비율이 34.3%에 달했다.

또 수산물 섭취 자제 또는 중단(19.1%), 외출 뒤 손 씻기ㆍ샤워(17.5%), 가급적 비를 맞지 않음(14.5%) 요오드 함량이 높은 미역ㆍ다시마 섭취(8.3%) 등 식생활을 포함한 일상생활의 지속적인 변화도 눈에 띄었다.

일본 원전 사고 뒤 방사성 세슘의 기준치를 ㎏당 370㏃(베크렐)에서 100㏃로 강화하는 등 정부의 조치ㆍ대응에 대한 홍보와 관련 정보 제공이 미흡했다는 사람들도 대다수였다. 76.1%는 ‘정보 제공이 부족했다’, 68.9%는 ‘정부 조치 내용을 몰랐다’고 응답했다.

방사능(방사선을 방출하는 능력, 방사선의 세기)과 방사선을 잘 구별하지 못하는 등 우리 국민의 방사능 관련 지식 점수는 과락 수준(100점 만점에 56.7점)이었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안전국 하정철 팀장은 “소비자의 방사능 관련 지식이 턱없이 부족한 데 인터넷ㆍ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을 통해 방사능 관련 루머 등 부정확한 정보가 무분별하게 확산되면서 방사능 오염에 대한 불안감이 필요 이상으로 증폭됐다”며 “방사능 관련 대(對)국민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위험 소통)을 상시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소비자원과 비슷한 시기(2014년9월)에 한국해양수산개발원도 전국 성인 700명을 대상으로, 일본 원전의 방사능 오염수 누출 사고(2013년7월) 뒤 수산물의 소비 변화를 설문조사한 뒤 그 결과를 ‘수산경영논집’ 최근호에 발표했다.

이 연구논문에 따르면 대상자의 81%가 일본에서 다량의 방사능 오염수가 다시 유출됐다는 소식을 접한 직후 수산물 소비를 줄였다. 수산물 소비를 자제한 가장 잦은 이유는 ‘정부 발표 등을 보고 자신이 판단해서’(29.5%)였다. 10명 중 7명은 ‘주변 사람ㆍSNSㆍ인터넷 등에서 안 먹는 것이 좋다고 해서’등 비공식적이거나 정확하지 않은 막연한 정보를 접한 뒤 수산물 소비를 줄였다.

일본 원전의 방사능 오염수 누출 사고는 일본산은 물론 국산 수산물의 소비에도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이날 포럼에서 발제를 맡은 경상대 수산경영학과 강종호 교수는 “일본에서 방사능 오염수 누출 사고가 발생한지 1년2개월이 지난 시점에 조사한 결과인데도 ‘일본산 수산물을 구입하지 않겠다’는 비율이 사고 발생 당시의 33.5%에서 37.5%로 오히려 소폭 증가했다”며 “국산 수산물의 소비 비중은 43.6%에서 40.4%로 감소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방사능 오염 문제는 일반적인 수산물 식품안전사고와는 비교도 힘들 만큼 영향이 크고 오래 간다”며 “일본 원전 사고나 방사능 오염수 누출 사고 뒤의 수산물 소비 급감은 부정확한 정보의 전달ㆍ불신ㆍ괴담 전파 등의 탓도 크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