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올해 리콜 전무 '무상수리'만 고집…'소탐대실' 우려

#실제 사례 1 (2012년 9월5일 포털 게재글. 원문을 맞춤법에 의거해 기사체로 교정한 수정문임)

"제 차는 트라제XG 2002년 4월식이고 번호는 '10고 47**'입니다.
 
2010년부터 외부 휠하우징 부근이 부식이 진행됐지만 자동차 외관에는 그다지 신경 안쓰는 터라, 그냥 타고 다니다가 2012년 5월경 하체에서 소음이 발생하여 리트프로 들어 본 결과 하체 프레임이 부식되어 만지면 부스러지는 심각한 상황이었습니다.

타이어가 안쪽으로 기울어져 잘못하면 차가 주저앉을 지경이어서 바퀴 빠지고 차가 주저앉을까봐 조심조심 저속운전. 

현대차에 문의한 결과 2011년 11월까지는 차주와 현대차가 5대5 비용 부담으로 일부 무상수리해줬지만 그나마 기한이 끝나서 수리해줄 수 없다고 하네요.

사실상 리콜을 하면서 구매자에게 알리지 않고 쉬쉬하며 진행한거죠. 소비자를 호구로 알지 않고서는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지난달 타이어가 안쪽으로 기울어져 쇼바 볼트와 간섭일으켜 타이어 마모/펑크로 정비소에 가서 자비수리하려 했으나 하체프레임 자체가 워낙 썩어서 과자처럼 부스러져 내렸고 결국 수리불가 판정받았습니다.
 
이리저리 방법을 찾아보다가 며칠후 폐차 결정하고 폐차 당일 2001년식 쌍용 코란도를 구입했는데 하체를 보니 부식이 거의 없고 깨끗하더군요.
 
트라제는 폐차당일까지 그 흔한 접촉사고 하나 없는 차였는데 녹이 슬어서 폐차 한다고 생각하니 기가 찰 노릇이더군요.
 
트라제, 싼타페, 그랜저XG 동호회나 까페에 가보면 이런 차가 전국적으로 수천, 수만대나 되고 TV에서는 이 사실을 고발했으며 수많은 소비자들이 이를 여러 관계기관에 고발했음에도 국민의 목숨을 담보로 이를 쉬쉬하고 나몰라라하는 현대차 대응에 분노를 넘어 무서움을 느낍니다."
 
# 실제 사례 2 (본지 기사원문 클릭☞ 기아차 “무상수리기간 지났으니 돈내세요” )

"한국소비자원은 그랜드카니발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조향장치 일부)에서 오일이 누유된다는 위해정보가 접수되어 조사한 결과, 하자 발생 원인이 밝혀져 기아차에 무상 수리를 권고했다.(대상범위: 2005년 7월 6일부터 2008년 5월 20일까지 생산차량)
 
이에 기아차는 2010년 6월 1일부터 2011년 5월 31일까지 무상수리를 진행했고, 후에 2012년 7월 18일까지 조치기간을 늘렸다.
 
그러나 최 모씨(서울 양천구 신월동)는 이 사실을 늦게 알았고, 지난 7월 21일에 차량을 서비스센터에 입고시켰다.
 
서비스센터 측은 "무상수리 기간이 지났으니 수리비를 받으라는 공문이 내려왔다"며 최씨에게 무상수리는 불가하다고 했다. 최씨는 혹시나 하는 마음에 다른 서비스센터도 방문했지만 상황은 똑같았다.
 
최씨는 "동호회 사이트를 보고 무상수리가 진행된 줄 겨우 알았다. 소비자에게 제대로 고지하지 않은 채 무상수리 기간이 끝났으니 수리비를 내야 한다는게 말이 되느냐"며 "결함을 인정한 이상 무기한으로 대상 차량들에 무상수리가 돼야 하는게 맞지 않느냐"고 말했다."
 
 

◆ 국내서 월 3만대 이상 팔리는 현대자동차 올들어 리콜 전무

 
위 사례들에서 보듯이 국내업체들은 웬만한 결함이 발견되더라도 비용이 많이 들고 부담도 큰 리콜을 기피하고 캠페인성의 무상수리로 자동차 결함을 덮고 넘어가버리는 경우가 많다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다.
 
소비자 클레임 제기로 뒤늦게 제작 결함이 드러나도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며 단순한 정비로 문제를 해결하는 국내 업체들의 소극적인 대응에 소비자들은 위 사례 피해자 처럼 가슴만 시커멓게 타들어가고 있다.
 
국내 자동차 업체들은 안전에 지장을 주는 제작 결함을 인정하고 담당부처인 국토해양부를 통해 이를 공개적으로 알린후 수리, 교환, 환불 등의 시정 조치를 하는 리콜엔 무척 인색하다는 것이 본지 조사결과 통계에 의해 확인됐다.
 
자동차 결함신고센터 홈페이지에 오른 자료에 따르면 올들어 1월부터 8월까지 한국GM(7종 8만5,356대), BMW(35종 2만2,226대) 벤츠(8종 4,822대), 기아차(1종 3,182대) 순으로 리콜차량이 많았다. 
 
또 크라이슬러(2종 1,131대),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2종 1,682대), 한불모터스(푸조·1종 1,014대), 혼다코리아(1종 990대), 한국토요타(1종 849대), 포드(2종 730대), 볼보(7종 448대), 기타(2종 319대), 에이엠티코리아(특수차·2종 226대), 한국닛산(2종 141대), GM코리아(1종 92대),포르쉐(6종 81대), 에프엠케이(마제라티·4종 31대)순이었다(할리데이비슨 에스앤티모터스 캄피오니모토트레이딩 등 이륜차 업체는 조사대상서 제외).
 
   
▲ 지난 2010년 2월24일 미 하원 감시·정부개혁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차량 결함과 관련한 대량 리콜 사태에 대해 해명을 하고 있는 토요타 아키오 사장.
 
여기서 조금만 눈여겨보면 특이한 사실을 발견할수 있다.
 
사실상 국민차인 현대자동차(회장 정몽구)의 리콜이 단 한대도 없다는 사실이다. 현대차 아우격인 기아차도 모하비 1종 3,100여대 밖에 없다.
 
현대차의 경우 국내 판매량이 아무리 적어도 3만대는 넘는다. 그처럼 많이 팔리는 차가 리콜이 단 한대도 없다는 것이다. 현대차의 기술력에 감탄할 만해야 하는가?
 
'리콜' 요건 및 '무상수리'와의 차이점
 
주행 및 안전에 관한 결함은 자발적이든, 강제적이든 자동차 관리법상 리콜을 실시해야 하는데 이럴 경우, 일간신문에 공고해 그날로부터 최소 1년 6개월 이상 수리기간을 두고 리콜에 관한 자세한 안내문을 전국 일간지에 공고해야 된다.
 
리콜대상 차량 차주가 공고일전 1년이내에 수리비를 들여 수리했다면 이 역시 보상해줘야 한다.
 
한국소비자원 권고등으로 실시되는 무상수리는 리콜보다 여러측면에서 유리하다. 1년6개월보다 짧은 수리기간인 1년을 정해서 실시해도 무방하며 신문에 비용을 들여서 공고할 필요도 없다.
 
무상수리 발표전에 소비자가 자비를 들여 수리했어도 이를 보상해줄 의무가 없다.
 
일반인들 사이엔 리콜은 결함이 있어서 어쩔수 없이 실시한다는 인식이 강한 반면 무상수리는 별것 아닌 결함이지만 자동차사가 소비자에게 선심쓴다는 이미지를 줘 여러면에서 자동차 제조사들은 리콜보다 무상수리가 유리하다.
 
그러나 자동차 결함이라는게 대부분 주행중 나타나는게 많다고 보면 안전에 관한 결함이냐 아니냐를 따지는게 무의미할수도 있다. 
 
민감한 사람은 조그만 소리에도 신경을 쓰다가 사고날수 있는게 자동차이기 때문이다.
 
수입차 업계 대부분 자발적 리콜 단행…현대기아차 69만대 '무상수리' 
 
리콜 통계 내면을 들여다보면 올들어 단행한 수입차들의 리콜은 거의 대부분이 자발적 리콜이다. 올들어 대형 수입차업계중 유일하게 자발적 리콜을 하지 않은 벤츠는 리콜 대상 8개 차종 모두 연료필터 결함에 지나지 않았다.
 
결국 웬만하면 수입차들은 자발적 리콜을 많이 하는데 비해 현대차는 자발적 리콜을 한번도 하지 않았으며 관계기관에 의해서도 리콜 명령은 단 한건도 없었다.
 
비용이 적게되는 무상수리 캠페인 현황을 보면 상황은 180도로 확 바뀐다.
 
무상수리는 '안전에 관한 결함'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자동차 회사가 실시하는 캠페인으로 무상수리 자체를 공표할 의무는 없다.
 
소비자원 권고로 무상수리를 한 경우는 기아 5회, 현대차 1회, 한국지엠 4회(쉐보레 포함)였으며 자동차결함신고센터에서는 기아차 5종 현대차 5종, 한국지엠 1종이 무상수리를 실시했다(두기관 중복 내용은 제외).
 
두 기관 합쳐보면 기아차 무상수리 10종, 현대차 6종, 한국지엠 5종이었고 수입차 업계는 전무했다.
 
결국 수입차 업계는 비용이 많이 들더라도 소비자안전을 위해 리콜을 많이 단행했던데 비해 현대기아차나 과거 GM대우였던 한국GM등 사실상 한국차업계는 비용적고 부담이 작은 무상수리를 많이 선택한 것이다.
 
현대기아차의 올해 무상수리 대상 차량 숫자는 무려 69만6,701대에 이른다.
 
이를 뒤집어 생각해보면 결국은 소비자의 안전이나 소비자의 부담보다는 자사의 비용과 이미지 추락만 걱정했다는 방증이 될 수도 있다.
 
물론 무상수리가 많은 표면적 이유는 안전에 관한 하자가 아니기 때문이지만 흠집같은 하자가 아니고 주행시에 나타나는 하자들이라면 모두가 안전도와 관련있다는 전제하에 소비자 보호를 위해 적극적이고도 자발적인 리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2010년초 토요타가 가속페달 결함에도 불구하고 미온적으로 대처하다가 대규모 강제리콜을 당함으로써 지난해까지 회사가 휘청거렸다는 점을 상기하면 현대기아차그룹의 리콜 기피증은 우려스럽기만 하다. 
 
소비자들도 이젠 자동차사들의 무상수리가 '소비자에 대한 은전' 대상이 아니라 '소비자 대한 안전' 소홀이라는 시각에서 바라보길 권한다.
 
아울러 품질경영을 줄곧 주창하는 정몽구 회장에게 감히 제언을 드리고 싶다.
 
'품질경영의 알파요 오메가는 '소비자 보호'라는 것을….<김자영 기자 / 소비자팀>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