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치 = 김현우 기자] BMW의 화재 문제가 지속 발생하더니 결국 국토교통부가 조사에 나섰고, 그제서야 제조사는 리콜을 발표했다.

BMW는 사고 모델은 물론 원인으로 예상되는 EGR 모듈이 장착된 모델까지 대상을 확대하고, 긴급 안전 진단 서비스를 시행해 정비사가 직접 소비자를 방문하는 조치까지 취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리콜을 발표하지 전까지 제조사 측이 화재사고에 대해 내놓은 답변은 ‘원인 불명’이었다. 직관적으로 봤을 때 차에서 갑자기 불이 난다는 것은 탑승객들의 목숨까지 위협할 수 있는 중대한 문제다.

그럼에도 “원인을 특정할 수 없다”는 답변이 과연 제조사에서 할 소리였을까.

하지만 국토부의 조사가 시작되자 원인을 규정하고 교체에 나섰다. 그것도 아주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동안 수입차 제조사들의 이러한 행태는 반복돼 왔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죽음의 에어백’으로 유명한 ‘타카타 에어백’이 탑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마저도 제대로된 조치를 취하지 않다가 국토부의 리콜 권고가 있었다. 그제서야 자발적 리콜을 실시하는가 싶었는데, 얼마나 진행 중인지는 알 수 없다.

또 지난 2016년 폭스바겐 ‘티구안’은 디젤게이트로 전세계 시장에서 몸살을 앓았다. 우리나라에서도 판매 정지 처분이 내려졌다.

폭스바겐은 티구안의 판매 개시를 위해 리콜이행률 85%을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기한이 한 달 남아있는 지금 달성이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그동안 판매를 개시한 티구안은 지난 6월 1,076대 최다 판매 수입차에 올랐다.

차에서 불이 나고, 주행 중 멈추고, 에어백이 터지면서 튀는 파편에 목숨이 위태로울 수 있지만 소위 ‘뽑기’를 잘못한 소비자들만 분노하고 끝이다.

결함이 발견되고, 몇몇 소비자들의 항의를 보고도 결국 소비자는 수입차를 산다. 때문에 제조사들은 결함에 대한 인정, 사후 수습에 적극적일 필요가 없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제조사는 제조물에 대한 결함에 대해 책임지는 모습이 필요하다. 수십년을 이어온 이들 차량의 명성에 걸맞는 행동이 필요한 때다.

가장 큰 문제는 이렇듯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에 대해서는 정부의 역할도 중요한데, 지켜지 않아도 되는 ‘명령’, 그 보다도 더 가벼운 ‘권고’ 정도에 그치고 있다. 이렇게 해서는 제조사를 움직일 수 없고, 국민의 생명을 지킬 수 없다.

특히 많은 소비자들은 수입차 관련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여기가 미국이라면 이렇게 끝났을까” 씁쓸한 질문을 던진다.

이미 사고가 나면 늦는다. 정부는 하루 빨리 제조사들이 적극적이고 신속한 리콜에 나설 수 있는 환경울 구축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