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치 = 김은주 기자] 금융소비자원(원장 조남희, 이하 ‘금소원’)이 국내 17개 은행에 재직 중인 감사 실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6개 은행은 금감원 출신, 5개 은행이 정부관료 출신인 낙하산 인사로 채워져 있다.

이들의 급여는 3억 원 내외로, 대다수가 하는 일 없이 이른바 ‘꽃보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지적이다.

금소원 관계자는 “금융권과 금감원의 감사 자리가 전문성이 부족한 인사로 정권의 하사품으로 취급되는 행태가 아직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이런 적폐가 문재인 정부도 금융개혁, 인사개혁 등 금융측면의 개혁은 박근혜 정부와 나아진 것이 없다는 것이 문제가 아닐 수 없다”고 밝혔다.

금감원 출신으로 현재 은행에 재직 중인 감사는 농협, 신한, 하나 등 시중 대형은행과 BNK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등 지방은행에서 근무 중이다.

정부의 관료 출신들이 감사위원장으로 근무 중인 곳은 산업은행(서철환 전 대통령 직속 지방자치발전위원회 국장), 수출입은행(조용순 대통령실 경호처 경호본부장), IBK기업은행(임종성 전 헌법재판소 기획조정실장), SC제일은행(오종남 전 통계청장), 대구은행(구욱서 전 서울고법원장) 등으로 대부분이 박근혜 정부 당시 임명된 비전문, 정치적 판단의 전형적인 낙하산 인사라고 볼 수 있다.

금소원 관계자나는 “급여로 3~4억 원을 받는 은행권의 감사 자리가 놀고먹는 자리로 인식되고 운영되면서 정치권의 전리품 자리로 전락했다”며 “청와대는 당장 금감원 감사와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의 감사들부터 인사개혁차원에서 즉각 면직처리하고 감사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인사 임명과 혁신적 감사시스템이 정착될 수 있는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이를 시작으로 한국거래소 이사장 등을 비롯한 금융권 전반의 적폐인사, 무능인사, 정실인사 등 실패인사들을 정리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