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자 난항, 대출중단 사태 장기화…경쟁력 약화
전산장애 고객불편 초래 ‘엎친 데 덮친 격’
참여연대 측 "무모한 산업정책 산물일 뿐“

[컨슈머치 = 김은주 기자] 고객들이 얼마나 더 기다려야 케이뱅크가 정상화될까.

케이뱅크가 정상적인 은행 영업을 이어가기 위해선 수천억 원의 자본확충이 필요하다. 하지만 철석같이 믿고 있던 KT가 대주주에 올라서는 길이 가로막히자 쉽사리 대안을 찾지 못한 채 헤매고 있다.

(출처=컨슈머치)
(출처=컨슈머치)

최근 KT 대주주 적격성 심사 관문을 통과하지 못해 유상증자가 계획에 차질을 빚어진 케이뱅크는 일부 기업들과 신규 주주 참여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KT가 금융당국의 압박에 케이뱅크 대주주 자격을 포기하기로 했다는 소문이 나오면서 이를 진화하느라 한 차례 진땀을 빼야만 했다. KT 대주주 포기설은 이내 잠잠해졌지만 시간만 흐르고 있을 뿐 여전히 케이뱅크는 뚜렷한 답을 찾지 못한 채 표류 중이다.

더욱 문제는 케이뱅크가 자금 수혈에 어려움을 보이면서 정상적인 은행 경영이 어려워지는 징후가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는 점이다. 케이뱅크는 지난달 일부 대출상품 판매를 중단한 뒤 한 달 째 다시 재개를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주력 예금 상품의 금리를 내리기로 결정하면서 경쟁사 카카오뱅크의 정기예금보다 이율이 낮아져 이래저래 경쟁력을 잃고 있다.

여기에 부실채권비율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자산건전성 우려도 사고 있다. 올해 3월 말 기준 케이뱅크의 고정이하여신비율(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 비율)이 0.67%p로 급증했는데 이는 대형 시중은행 및 카카오뱅크의 경우 오히려 개선되거나, 소폭 증가하는 데 그친 것과는 대비되는 수치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지난 1년 사이 증자가 지연되면서 대출 쿼터제를 도입했고 이로 인해 한 달에 늘릴 수 있는 대출규모가 200억 원 정도 밖에 되지 못했다”며 “이처럼 분모를 키우지 못한 점이 연체율이 커지게 된 하나의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22일에는 사전공지 없이 점검시간이 2시간 가까이 길어지면서 고객 불편이 이어졌다. 케이뱅크 출범 이후 첫 전산장애 오류로, 엎친데 덮친격 고객들의 이탈을 부추기는 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한편 시민단체 참여연대 측은 당국을 향해 은행산업의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는 케이뱅크 문제를 조속히 정리 할 것을 촉구했다.

참여연대 관계자는 “사실상 영업이 정지된 케이뱅크의 부실률이 시시각각 증가하는 것은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니다”라며 “감독상의 추가적 조치가 없는 한, 케이뱅크의 부실은 예금보험이라는 금융권 전체의 비용을 통해 정리해야 하는 수순으로 가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케이뱅크는 무모한 산업정책 산물이며 대표적 실패 사례”라며 “점점 금융권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케이뱅크 문제를 하루빨리 합리적으로 정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