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치 = 김은주 기자] 제로페이 확산을 위해 정부 지자체 공무원, 여권 정치인들이 캠페인 띠까지 둘러맨 채 그야 말로 발바닥이 땀이 나도록 돌아다니고 있지만 효과가 신통치 않다.

안타깝게도 주변 지인(기자, 공무원 친구 제외) 그 누구도 제로페이를 쓰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아마 이 글을 읽고 있는 사람들 역시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유는 간단하다. 소비자를 유인할 매력이 없기 때문이다. 

제로페이는 카드결제 수수료 부담을 줄여 영세 자영업자들을 살리자는 취지로 도입됐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제로페이가 만들어진 목적과 취지에는 크게 관심이 없다는 걸 분명히 알아야 한다.

사회공헌 차원에서라면 누군가를 도울 방법은 무수히 많다. 소비와 선행은 엄연히 차원이 다른 문제다. 내가 먹고, 내가 쓰고, 내가 이용하는 ‘소비’의 개념에서까지 누군가를 위해서 배려해야 한다는 건 선뜻 납득이 가지 않는 거다.

특히 소확행(작지만 확실한 행복), 가심비(가격 대비 마음의 만족 추구)에 가치를 두고 소비하는 요즘 현대인들에게 ‘착한 소비’가 먹힐 리 만무하다.

소비자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홍보 방식은 반감마저 들게 한다. 있는 매력 없는 매력 다 끄집어내도 모자랄 판에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을 살려야 하지 않겠냐? 그러니 제로페이 사용으로 착한 소비를 해라”식의 설득은 소비자 입장에서는 그저 강요‧강매로 밖에 느껴지지 않는다.

제 아무리 정부 주도하에 만들어진 제로페이 일지라도 결국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카카오페이, 네버이페이, 삼성페이 등 민간 주도 간편결제시스템과 경쟁 우위를 점해야 한다. 경쟁 페이 업체들이 어떤 혜택과 어떤 편의성으로 소비자를 끌어들이지 고민할 때 제로페이는 그저 “소상공인을 살리자”며 인정에 호소하기 급급한 듯 보인다.

그런데 아이러니 한 건 소비자뿐 아니라 정작 혜택을 받는 자영업자 당사자들도 제로페이를 반가워하지 않는 다는 점이다.

제로페이를 쓰는 손님이 없어 불필요한데도 공무원들이 여러 번 찾아와서 가입을 권유하는 것이 귀찮고, 설치 후엔 사용도 불편하다는 것이다. 결국 제로페이는 누구를 위한 착한 소비인가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제로페이가 인기가 없는 이유가 간단하듯, 제로페이를 확산시키는 방법도 간단하다. 소비자들에게 착한소비를 인질로 사용을 압박하기 보다는 수많은 혜택과 편리함을 누릴 수 있는 ‘잘 만들어진 제로페이’로 시장을 설득하면 된다. 좋은 서비스, 좋은 제품은 그 누구보다 소비자가 먼저 알아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