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삼성전자
출처=삼성전자

[컨슈머치 = 김현우 기자] 설상가상(雪上加霜). 삼성의 현 상황을 잘 나타내는 사자성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은 미‧중 무역 갈등이 진행 중인 와중에 일본의 보복성 수출 규제에 주요 사업 부문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여기에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수사까지 감당해야하기 하는 상황이다.

지난 4일 일본의 반도체 핵심 소재 수출 규제가 시작되고 사흘만인 지난 7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일본으로 날아갔다.

일본이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리지스트, 에칭가스(고순도 불화수소) 등 반도체 핵심 소재 3가지의 수출을 규제하면서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의 위기가 예상됐기 때문이다.

일본 출장에서 귀국한 다음날인 지난 13일, 이 부회장은 디바이스솔루션(DS) 및 디스플레이 부문 최고 경영진을 긴급 소집해 일본 출장 성과를 공유한 것으로 전해진다.

최악의 경우 공장 가동 중단이라는 상황까지 예상됐으나, 이 부회장의 일본 출장 덕에 최악의 상황은 피할 수 있었다는 것이 업계 평가다. 그러나 위기상황임에는 변함이 없었다.

특히, 이 부회장은 일본의 추가 수출 규제(백색 국가 제외)를 우려했다. 실제 일본 정부는 지난 1일, 오는 24일 이후 수출무역관리령 시행령을 개정해 한국을 백색 국가에서 제외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경우 반도체뿐만 아니라 스마트폰(IM)부문과 소비자가전(CE)부문까지 흔들릴 수 있었다. 삼성전자가 생산하는 가전 제품과 모바일 기기에는 일본 기업들이 공급하는 부품이 상당수 탑재돼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이 부회장은 사장단에 컨틴전시 플랜의 마련을 지시했고, 지난 17일 컨틴전시 플랜에 따른 첫 움직임이 있었다.

삼성전자 IM부문과 CE부문은 협력사에 ‘최소 90일분 이상의 일본산 소재·부품의 재고를 늦어도 다음달 15일까지 확보해 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단순 확보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협력사들이 확보한 소재를 삼성전자가 다 소진하지 않을 경우 재고 관련 모든 비용을 책임지겠다는 조건까지 내걸었다.

오는 8월로 예상되는 일본 정부의 2차 수출 규제에 삼성전자 나름대로 대비를 한 것이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한국의 백색 국가 제외 실현시 수출 규제를 가할 1112개의 품목을 정해놓고 있는 상황이다. 삼성전자가 이를 전부 대비할 수 없는 상황인 것은 분명하다.

문제는 삼성전자의 어려움이 일본 수출 규제뿐만이 아니라는 점에 있다. 한동안 잠잠했던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관련 수사가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일 서울중앙지법이 ‘주요 범죄 성부에 다툼 여지가 있고, 현 단계에서 구속 사유와 필요성 등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 후 구속영장을 기각하긴 했으나, 검찰은 “영장 재청구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일본의 추가 수출 규제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한-일 이슈에 집중해야 할 때에, 삼바 수사가 이뤄질 경우 현 경제 이슈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당‧정‧청 모두 일본의 한국 수출 규제에 대해 보복성 수출 규제라는 데 궤를 같이 하고 있다”며 “어려운 시국인 만큼 경제계는 기업을 옥죄는 상황이 벌어지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