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투자증권이 펀드 판매회사 평가에서 4년 연속으로 최상위 등급을 받았다.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이하 재단)은 2021년 은행 12개사, 증권사 14개사, 보험사 1개사 등 총 27개펀드 판매회사를 대상으로 펀드 판매절차(97.5%)와 사후관리서비스(2.5%)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판매절차 점검은 440곳의 영업점에 미스터리쇼퍼를 파견해 총 5개 부문을 25개 문항으로 펀드 판매 관련 법규 준수 여부 및 질적 숙련도 등을 살핀다.

사후관리서비스는 사후관리안내장이나 설명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금융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상의 금융소비자 권리, 민원·분쟁해결 정보, 부가서비스 등을 안내하는지 점검한다.

■ 한화투자증권 4년 연속 A+

작년보다 순위가 10계단 이상 상승한 판매사는 ▲부산은행(16위 → 3위, 13계단) ▲우리은행(24위 → 12위, 12계단) ▲한국투자증권(12위 → 1위, 11계단) 등 3개사다.

작년보다 순위가 10단계 이상 하락한 판매사는 ▲삼성생명(8위→ 26위, 18계단) ▲유안타증권(9위 → 23위, 14계단) ▲SK증권(14위→ 25위, 11계단) 등 3개사다.

종합순위 5위 이상인 A+ 등급을 3년 이상 유지한 판매사는 ▲한화투자증권(4년, 2018~2021)이 유일했다. 

종합순위 21위 이하인 C등급에 3년 이상 머무른 판매사는 3개사로 ▲기업은행(7년, 2015~2021) ▲SC제일은행(5년, 2017~2021) ▲대구은행(3년, 2019~2021)이었다.

출처=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
출처=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

■ 금소법 시행 후 절차 점검 필요

영업점의 펀드 판매절차를 점검한 결과, 전반적인 금융소비자보호 수준은 지난해에 이어 하락했다.

업종별 비교 시 은행이 증권사보다 부진한 경향은 지속됐다.

증권-은행 간 점수 차이는 다소 축소됐는데, 그 원인은 은행의 펀드 판매절차가 개선됐다기보다는 증권사 펀드 판매절차가 은행보다 크게 악화됐다.

재단 측은 "은행과 증권 모두 「금융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으로 강화된 판매기준에 맞춰 판매절차개선이 필요하다"면서 "특히 증권사의 점수 하락폭이 큰 만큼 판매절차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점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적합성 원칙 관련 규정 준수 미흡

금융소비자의 제반 상황(투자자 성향)에 적합하지 않은 상품(고위험 상품)의 권유를 금지하는 ‘적합성 원칙’이 있다.

그러나 금융소비자의 투자자성향을 제대로 진단하지 않거나(45건, 10.2%), 적합한 펀드를 추천하지 않는 경우(71건, 16.1%)가 여전히 존재했다.

또한 금융소비자의 투자자 성향은 제대로 진단했으나 투자자 성향보다 고위험펀드를 권유하거나(49건, 11.1%), 투자자 성향 진단을 유도해 고위험펀드를 권유하는 경우(15건, 3.4%)도 존재했다.

■ 추천 펀드 설명 미흡

펀드 판매절차에서 ‘설명의무’와 관련해 추천 펀드 설명 미흡

설명의무 이행에 따라 설명서를 금융 소비자에게 제공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간이투자설명서나 투자설명서를 교부하지 않는 경우(33건, 7.5%)가 존재했다.

추천 펀드의 위험등급에 대해 설명을 전혀 듣지 못한 경우가 절반 가까이(202건, 45.9%) 이르렀으며, 판매수수료와 총보수 차이에 대해 설명해 주는 경우는 일부(37건, 8.4%)에 불과했다.

펀드를 설명하는 중간에 금융소비자가 이해하고 있는지 점검하지 않는 경우가 절반(227건, 51.6%)을 넘었는데, 단순히 구두로만 확인하는 등 제대로 확인하지 않는 경우도 절반(220 건, 50.0%)을 차지했다.

■ 일부 판매사, 소비자 권리·부가서비스 안내 없어

대다수 펀드 판매사는 주로 상품설명서를 통해 금소법상의 금융소비자 권리와 민원/분쟁 해결 절차를 안내하고 사후관리서비스 안내장으로는 부가서비스를 안내했다.

다만, 금소법상의 금융소비자 권리에 대해 설명을 제공하지 않는 판매회사(2개사)와 펀드 관리에 도움이 되는 부가서비스에 대해서 안내하지 않는 판매회사(4개사)도 일부 존재했다.

재단 측은 "고위험 펀드 관련 불완전판매 위험이 여전히 크므로 판매사 자체 점검 및 완전판매 교육 강화해야 한다"면서 "금융소비자가 올바른 구매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판매직원 교육 및 지원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컨슈머치 = 손미화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