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들어 벌써 2건의 전기차 화재사고가 발생하면서 소비자의 불안감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전기차 화재는 많은 장비와 인력의 투입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 소방 공백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지난 9일 오후 10시 25분 세종시 국도를 달리던 테슬라 전기차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장비 17대, 인원 50명 등을 투입해 1시간 18분 만에 진화 작업을 완료했다.

또 서울 성동소방서에 따르면 지난 7일에 발생한 테슬라 모델X 화재사건에는 당시 소방 동원 인원 65명, 차량 27대가 투입됐다. 출동 후 3시간 47분이 지난 뒤에야 상황이 종료됐다.

박성민 국회의원실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전기차 화재진압 시 투입된 소방인력은 평균 33.4명, 소화수는 2만 리터 이상으로 나타났다.

실제 2020년 서울 용산에서 일어난 전기차 화재 사고 당시 무려 84명의 소방인력이 투입됐고, 4만4000여 리터의 소화수가 사용되기도 했다.

자동차, 화재, 전기차(출처=PIXABAY)
자동차, 화재, 전기차(출처=PIXABAY)

업계에 따르면 전기차의 리튬이온배터리가 외부 충격을 받아 손상되거나 과전류가 흐르면 단시간 내 700도까지 오르는 열폭주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소방당국은 전기차 화재 진압을 위해 ‘질식 소화 덮개’나 ‘이동식 냉각 수조’ 등의 장비를 동원하고 있으며, 상당히 많은 소방인력 투입도 필요로 한다.

KBS 보도에 따르면 ‘이동식 수조’는 전국에 10여 개 정도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좁은 골목이나 지하주차장 등 지형에 따라 사용이 제한되며, 수조 하나를 쓰는데 지금의 기술 수준에서는 소방관 10명 정도가 필요하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전기차 화재에 출동한 소방인력이 차 한 대 불을 끄는데 수 시간 동안 묶여 있어야 하는 경우가 다반사로 필연적으로 다른 위급 상황에 대한 공백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정부가 본격적인 전기차 시대가 도래하기 전에 ‘이동식 수조’ 등 효율적인 화재진압 장비와 인력 확충, 열 폭주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더불어 전기자동차 충전시설은 대부분 지하주차장에 설치돼 있어 2차 사고 등 대형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충분하다며, 지하주차장 내 사고 위험을 방지할 안전대책도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2025년까지 전기차 113만 대 보급을 목표로 설정한 가운데, 안전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올 수밖에 없다”면서 “소비자 시민들이 전기차를 안심하고 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컨슈머치 = 고준희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