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우수제품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제도가 도입되고 있지만, 화장품 등 소비자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제품으로 인한 환경문제는 지속되고 있다.

소비자의 재활용 우수 제품 구매를 유도하고 포장재를 쉽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포장재 재질·구조 평가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며, 이 제도에 따라 포장재 재활용 용이성 평가 및 결과에 대한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 화장품 용기의 재활용 등급 및 표시 실태를 조사했다.

빈병, 화장품, 플라스틱, 재활용(출처=pixabay)
빈병, 화장품, 플라스틱, 재활용(출처=pixabay)

그 결과 재활용이 쉽지 않은 ‘재활용 어려움’ 등급의 용기가 62.6%였고,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재활용 관련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현행법상 화장품은 포장재의 재질에 따른 분리배출 표시 의무가 있고, 포장재 재활용 용이성 평가를 받아야 한다.

재활용 평가 등급은 ‘최우수’, ‘우수’, ’보통‘, ’어려움‘ 등 4개인데, ‘어려움’ 등급을 받으면 포장재를 변경할 경우 제품의 기능장애가 발생하는 등의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포장재에 ‘재활용 어려움’이라고 표시해야 한다.

국내 상위 15개 화장품 유통․판매업체에서 판매하는 화장품 294개 제품 용기의 재활용 용이성 등급을 확인한 결과, 62.6%(184개)가 최하 등급인 ‘어려움’ 등급을 받았고, 이어 ‘보통’ 22.1%(65개), ‘우수’ 14.6%(43개), ‘최우수’ 0.7%(2개) 순이었다.

조사대상 중 재활용 어려움 등급을 받아 등급 표시 의무가 있는 제품은 156개였는데, 제도 시행 이후 생산 이력이 없거나 단종(4개), 표시 누락(4개)된 제품을 제외한 148개가 ‘재활용 어려움’ 등급 표시를 하고 있었다.

‘보통’ 이상 등급을 받아 표시 의무가 없음에도 자발적으로 표시한 제품 17개를 포함해 전체 조사대상의 56.1%(165개)가 재활용 용이성 등급을 표시했다.

한편, ‘최우수’, ‘우수’ 등급을 받은 45개 제품 중 재활용 등급을 표시한 제품은 8개(17.8%)에 불과했다. 표시 의무 대상이 아닌 제품도 소비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친환경 제품 구매를 독려할 수 있도록 기업 스스로 포장재 재활용 우수제품이라는 점을 적극적으로 표시할 필요가 있다.

화장품 용기의 분리배출 표시 실태 조사에서는 분리배출 의무 표시 대상 제품(254개)보다 많은 262개 제품이 분리배출표시를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종이팩, 금속캔, 유리병, 합성수지 재질 포장재를 사용하는 화장품 포장재는 분리배출 의무 표시 대상이다.

조사대상 15개 업체의 대표 온라인몰 16곳에서 재활용 용이성 등급 및 분리배출 표시 정보를 제품별로 확인할 수 있는지 알아보니, 재활용 용이성 등급 표시 정보를 게시한 곳은 1곳이었다. 분리배출 정보에 대해서도 제품별 분리배출 방법과 분리배출 표시를 제공하는 곳도 각각 1곳에 그쳤다.

최근 6개월 이내 화장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700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선호하는 구매방식은 ‘온라인을 통해 화장품 정보를 얻은 후, 온라인으로 구매’가 57.3%(401명)로 가장 높게 나타나, 온라인에서도 분리배출 및 재활용 용이성 등급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업체들의 환경보호 노력 정도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7개 항목으로 구분해 조사(5점 척도)한 결과, 전체 항목의 평균이 2.6점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은 업체들의 환경보호 노력이 부족하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응답자의 87.3%(611명)가 동일한 조건이라면 친환경 용기의 제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답하여 친환경 용기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또한 화장품 업체가 환경보호를 위해 우선적으로 노력해야 할 점으로는 ‘포장 줄이기(무포장, 무용기 제품 개발 등)’라는 응답이 42.6%(298명)로 가장 많았고, ‘재활용이 우수한 용기 사용’ 18.1%(127명), ‘분리배출이 쉬운 용기 사용’ 16.1%(113명) 등을 꼽았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한화장품협회와 화장품 유통․판매업체들에게 온라인상 분리배출 표시 및 재활용 용이성 등급 등 화장품 용기에 대한 정보 제공 확대와 자원 순환을 위한 친환경 경영 노력 강화를 권고할 예정이다.

[컨슈머치 = 전정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