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국민 87.7% ‘남성 육아’ 필요성 공감…"참여도 낮은 수준" < 으라차차 아빠육아 < 프로젝트 < 큐레이션기사 - 컨슈머치

뉴스Q

으라차차 아빠육아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성인 남녀 1,000명 대상 ‘남성(아빠) 육아’ 인식 조사 결과

국민 87.7% ‘남성 육아’ 필요성 공감…"참여도 낮은 수준"

2018. 12. 12 by 김은주 기자

[컨슈머치 = 김은주 기자]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한국사회에 ‘남성 육아’가 필요하다는데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육아 활동은 부부 공동의 몫이라는 인식이 강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세~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남성(아빠) 육아’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87.7%가 우리사회에서 남성 육아가 필요한 활동이라는데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으로 조사됐다. 남성(81.8%)보다는 여성(93.6%)이 남성 육아의 필요성을 더욱 많이 느끼고 있었다.

(출처=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출처=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남성의 육아 활동이 필요하다는 인식은 부부라면 당연히 나눠야 하는 부담(77.4%, 중복응답)이라는 생각에서 가장 많이 비롯되고 있다. 30대가 다른 연령대보다 육아 활동은 부부가 함께 짊어질 부담(20대 79.2%, 30대 84.9%, 40대 74.2%, 50대 71.2%)이라는 생각을 많이 가지고 있다.

또한 맞벌이를 하는 부모가 많아지고 있는데다가(66.6%), 여성의 육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는(55.8%) 남성의 육아 참여가 필요하다는 생각도 강했으며,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40.4%) 및 가족단위 활동의 증가(31%)에서 이유를 찾는 시각도 적지 않다.

남성 육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제는 남성 육아를 ‘당연하게’ 받아들이기 시작했다는 것도 느낄 수 있었다. 전체 10명 중 8명(82.8%)이 남성 육아는 한국사회가 발전하면서 생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바라봤다. 아빠들이 육아의 일부를 담당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는 주장에도 89.9%가 동의했다.

남성과 여성에 따른 시각 차이 없이 남성 육아가 한국사회의 발전과정에서 생긴 자연스러운 현상(남성 80%, 여성 85.6%)이고, 아빠들이 육아의 일부분을 담당하는 것은 당연하다(남성 87.8%, 여성 92%)는 인식이 공통적이었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68.5%가 공감하듯이 현대사회에서는 남편이 혼자 돈을 번다고 하더라도 아빠 육아는 필수적이라는 생각도 강했다. 그에 비해 맞벌이만 아니라면 육아는 엄마가 온전히 담당하는 것이 옳다는 의견(11.5%)은 적은 편으로, 직장생활과 관계 없이 육아는 부부 공동의 몫이라는 인식에는 이견이 없어 보인다.

다만 육아는 엄밀히 얘기해서 남성의 몫이 아니라거나(11.3%), 육아는 본래 엄마의 몫인데 아빠가 약간 거들어 주는 것(11.2%)이라는 시각, 육아는 여성밖에는 완벽히 할 수 없는 것(9%)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일부 존재했다. 

자녀의 성장을 위해 아빠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의견은 대세로 자리 잡고 있다.

전체 응답자의 90.9%가 남성 육아는 자녀의 긍정적인 정서함양을 위해 꼭 필요하다고 강조한 것으로, 성별(남성 87.4%, 여성 94.4%)과 연령(20대 92.4%, 30대 94%, 40대 91.2%, 50대 86%)에 따른 차이 없이 이런 인식은 비슷했다.

(출처=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출처=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반면 현재 회자되고 있는 남성 육아가 그저 TV프로그램을 통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사회현상이라고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14%)은 적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남성의 육아 활동 참여가 ‘저출산 문제’라는 국가적 과제의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도 많았다. 전체 65.6%가 남성 육아의 활성화가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을 내비친 것이다.

또한 앞으로 육아를 위한 남성들의 휴직 비율이 높아질 것 같다는 전망(72%)도 높다. 다만 우리나라의 직장 현실에서 남성들의 육아 참여가 과연 가능할까 하는 의문(64.8%)도 상당히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육아에 대한 고민이 가장 많을 시기인 30대가 다른 연령에 비해 이런 의문(20대 64%, 30대 70.4%, 40대 65.6%, 50대 59.2%)을 많이 품고 있었다. 아무래도 복직 후 인사상의 불이익이 있을 것 같다(65.6%)는 불안감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조사 참여자들의 ‘남성 육아’에 대한 관심도 비교적 높은 수준인 것으로 평가됐다.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55.5%)이 평소 남성 육아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한 것이다. 다만 남성(47.6%) 스스로보다는 여성(63.4%)의 관심도가 좀 더 높은 편이었으며, 기혼자의 경우에는 아무래도 자녀의 연령이 낮을 때(돌 전 81.3%, 만 1~3세 81.4%, 만 4~7세 78.9%, 초등학교 저학년 62.7%, 초등학교 고학년 55.3%, 중학생 40.5%, 고등학생 46.9%, 성인자녀 45.8%) 남성 육아의 필요성을 보다 많이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주로 20~30대 젊은 세대(20대 59.6%, 30대 66.8%, 40대 49.2%, 50대 46.4%)를 중심으로 남성 육아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도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실제 남성 육아를 바라보는 시각에 세대별로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전체 74.6%가 공감할 만큼 젊은 세대가 남성 육아에 대해 긍정적인 것 같다는 시각에는 이견이 없는 반면 남성 육아에 대한 기성세대의 태도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 것이다.

요즘은 기성세대도 남성 육아에 긍정적인 것 같다는 의견(21.8%)과 여전히 기성세대는 남성 육아에 부정적인 것 같다는 의견(26.4%)이 비슷한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기성세대가 여전히 남성 육아를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본다는 평가는 젊은 세대(20대 37.2%, 30대 32.8%, 40대 22.8%, 50대 12.8%)에게서 많이 찾아볼 수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 남성 육아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비교적 관심도 많은 것과는 달리 실제 한국사회에서 남성의 육아참여도는 낮은 수준이라는 것이 전반적인 의견이다. 전체 응답자의 82.6%가 한국사회에서 남성의 육아 참여도는 낮은 편이라고 바라본 것으로, 적정한 수준(10.1%) 또는 높은 수준(2.8%)이라는 평가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다만 최근 시행되기 시작한 ‘근로시간 단축’이 향후 남성들의 육아참여를 이끌어낼 것이라는 기대감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전체 절반 가량(47.3%)이 근로시간 단축이 시행되면서 남성들의 육아참여가 많아질 것이라고 예상한 것으로, 남성(남성 54.8%, 여성 39.8%) 및 50대(20대 39.2%, 30대 47.6%, 40대 46%, 50대 56.4%)를 중심으로 이런 전망을 많이 하는 편이었다.

하지만 근로시간 단축이라는 제도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남성들의 육아 참여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의견(47.2%) 역시 상당한 수준이었다. 한편 자녀의 양육을 위한 남성의 육아 휴직 사용에 대해서는 거의 대부분(91.2%)이 필요한 편이라고 바라봤으며, 남성의 육아휴직제도 사용을 법적으로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71.7%에 이르렀다.

한편 자녀에게 아빠의 육아가 가장 필요한 시기로는 만 4세~7세(63.6%, 중복응답)가 첫손에 꼽혔다. 그 다음으로 만 1세~3세(49.3%)와 초등학교 저학년(47.8%) 시기에 아빠의 육아 참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아, 대체로 자녀의 ‘유년기’ 시절에 아빠의 역할이 보다 강조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남성이 할 수 있는 육아 활동으로는 자녀와 몸으로 놀아주고(84.8%, 중복응답), 자주 이야기를 하고(84.4%), 산책을 하는(80.2%) 활동을 주로 많이 꼽았다. 또한 자녀를 병원에 데려다 주고(80%), 책을 읽어주며(79.6%), 목욕을 시키고(77.7%), 함께 여행을 가는(77.4%) 역할의 필요성도 강조됐다. 그만큼 아빠가 자녀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큰 것으로 보여진다.

이 중에서도 가장 보람 있는 활동이라고 평가를 받는 아빠 육아 활동은 자녀와 자주 이야기하고(57.5%, 중복응답), 몸으로 놀아주며(54.6%), 여행을 가는(36.9%) 것이었다. 식사를 챙겨주거나(22.7%), 집안일을 하는(21.1%) 활동이 보람될 것이라는 의견도 많았으나, 그보다는 자녀와의 소통 및 공감이 더 중요하다는 인식이 뚜렷하다고 볼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