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산란일자 표기, 달걀값 상승 부추긴다? < 산란일자 표기 그래서 안전한가요 < 프로젝트 < 큐레이션기사 - 컨슈머치

뉴스Q

산란일자 표기 그래서 안전한가요

산란일자 표기 그래서 안전한가요②

산란일자 표기, 달걀값 상승 부추긴다?

2019. 03. 19 by 김은주/박지현 기자

[컨슈머치 = 김은주 박지현 기자] 산란일자 표기가 의무화된 가운데 설비 및 재고 소진 비용 발생이 향후 소비자가격 인상으로 이어지진 않을지 우려가 제기된다.

■ 달걀 껍데기에 ‘0304 M3FDS 1’ 표시해라 

지난달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소비자 알 권리와 선택권을 위해 추진해온 ‘달걀 껍데기(난각) 산란일자 표시제도’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다만 시행 후 6개월간은 계도기간이다.

식약처는 산란일자 표시가 시행되면 달걀 유통기한 설정 기준이 투명해져 달걀 안전성이 강화되고 유통환경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해당 제도 의무화를 통해 달걀 껍데기에 표시되는 생산정보 맨 앞에 산란일자 4자리 ‘MMDD(월일)’가 추가된다. 그동안 생산정보는 생산농가번호 5자리, 사육환경 1자리로 총 6자리까지만 있었지만 산란일자가 추가되면서 10자리로 늘어나게 된 것.

(출처=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실)
(출처=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실)

예컨대 난각코드 자리에 ‘0304 M3FDS 1’라고 적혀 있다면 ‘M3FDS’라는 고유번호를 가진 생산농가에서 유기인증사료를 먹인 닭을 방사/방목 등의 형태로 사육해 3월4일에 생산한 제품이라는 뜻이다.

이러한 표기가 의무화되기 전까지는 산란일자가 아닌 유통기한만이 표기돼 있었다. 유통기한은 산란일자를 기준으로 유통‧보관 방식에 따라 30~45일 정도로 정해진다.

그러나 일부 농가에서는 산란일자가 아닌 포장일자를 기준으로 유통기한을 정하는 일이 부지기수였고, 이러한 허점을 이용해 달걀 값이 하락하면 장기간 재고를 보관하다 가격이 다시 오르면 포장 판매하는 업체가 적발되기도 했다.

■ 달걀값 향방은…?

정부는 ‘산란일자 표시제’를 통해 달걀 신선도에 대한 소비자 정보제공을 강화한다는 입장이지만 일각에서는 양계농민들의 경영부담이 과도하게 증가해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식약처에 따르면 현재 달걀 생산자의 약 85%가 난각인쇄기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따로 난각인쇄기를 교체하지 않아도 10자리 표시가 가능하고 추가적으로 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난각 인쇄 자릿수가 늘면서 농가들이 많은 비용을 들여 선별시스템 자체를 바꿔야 하는 부담을 짊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은 “농민 대다수가 달걀을 세로로 세운 상태에서 6자리를 잉크젯으로 인쇄하는 선별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데, 표시 자릿수가 10자리로 늘어나면 계란을 눕혀서 가로로 인쇄하는 시스템으로 교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아직도 계란을 먼저 주고 돈을 나중에 정산 받는 후장기 관행으로 많은 양계농민들이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출하가 며칠 밀렸다는 점을 트집 잡아 달걀 할인을 요구하며 괴롭힐 수 있다는 점도 농가를 긴장시키는 요인이다.

(출처=컨슈머치)
(출처=컨슈머치)

산란일자 표시제도가 시행 된지 보름여가 지났지만 계도기간가 있는 만큼 아직까지 양계농가 끼치는 영향을 미비하다. 다만 향후 산란일자 표시 의무화가 달걀 가격에 미칠 영향에 대해 소비자들의 관심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

대한양계협회 관계자는 “현재는 계도기간이라 작은 소매 유통사나 지방 쪽에서는 산란일자가 적힌 달걀을 보기 힘들다”라며 “수도권 대형마트처럼 커다란 유통사에나 가야 산란일자가 찍힌 달걀을 볼 수 있는 만큼 아직까지 농가에 끼치는 영향은 적은 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계도기간이 끝난 후가 문제다. 소비자들이 조금이라도 산란일자가 가까운 제품 위주로 구매하는 성향이 짙어지다 보면 품질이 아무리 동등하더라도 2-3일 지난 달걀은 아예 못 먹는 제품으로 뒤로 밀려버릴 것”이라며 “그에 대한 매장 내 처리 시스템이 따로 없으니 유통기한이 지난 우유나 요구르트처럼 농가로 다시 반품되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무엇보다 ‘먹을 수 있는 달걀’ 자체가 줄어든 다는 것도 커다란 문제다. 폐기처분되는 달걀이 늘어나면 공급량이 줄어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곧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부분이다.

양계협회 관계자는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도달하는 달걀 양이 부족해지게 돼 가격이 올라가게 될 것”이라며 “결국 소비자들은 비싼 값을 주고 달걀을 사먹어야 하고, 생산자들은 폐기되는 달걀 양만큼 손해를 보게 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