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민족 운영사인 우아한 형제들이 이달 배달의민족의 수수료 정책을 개편했다가 소상공인 등 사회적 비난이 빗발치면서 며칠만에 다시 백지화하는 해프닝이 발생했다.

특히 이번 수수료 정책 개편은 지난해 말 우아한 형제들은 국내 2위인 독일 딜리버리 히어로와 인수합병과 맞물려 국내 배달 플랫폼 시장의 독과점 문제까지 우려되고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주경순, 이하 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배달의민족의 수수료 정책을 분석했다.

배달의민족의 영업수익은 2015년 495억 원에서 매년 71.5%, 91.5%, 91.6%, 80.1%로 꾸준히 증가해 2015년 대비 2019년 영업수익은 11.3배 증가한 5611억 원으로 나타났다.

배달의 민족 수수료 정책(상), 배달의 민족 매출 및 영업이익(하)(출처=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배달의민족 수수료 정책(상), 배달의 민족 매출 및 영업이익(하)(출처=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배달의민족의 수수료 체계를 살펴보면 2015년에 중계서비스 수수료 0원이고, 울트라콜(월 5만5000원)과 파워콜(월 3만3000원)를 운영하다가 그해 10월 파워콜을 폐지하고, 2016년에는 울트라콜의 가격을 8만8000원으로 60% 인상했다.

협의회는 "슈퍼리스트라는 비공개 입찰제 방식의 광고서비스를 출시해 기존의 울트라콜 서비스를 이용하는 광고주는 입찰방식의 광고료인 슈퍼리스트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과다한 광고료 부담 때문에 매출이 감소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배달의민족은 울트라콜의 가격 인상과 슈퍼리스트 도입으로 2016년 흑자로 전환했다.

배달의민족은 작년 4월 3년간 운영하던 슈퍼리스트를 폐지하고 배달 매출 건당 6.8% 수수료를 받는 오픈리스트를 출시했다. 이는 신청 업소가 3개를 초과할 경우 최상단 화면에 ‘롤링’ 방식으로 노출되는 형태였다.

수수료 체계를 다시 한 번 개편하면서 기존의 울트라콜의 가입 횟수를 최대 3개로 제한하고, 신청 업소 중 3개가 랜덤 노출됐던 오픈리스트를 신청한 업소가 모두 노출되는 오픈서비스로 변경했다.

협의회는 "울트라콜로 인한 광고 독점 문제는 일부 해소된다고 해도 오픈서비스라는 서비스도 이용할 수밖에 없어 부담이 여전하거나 더 증가할 수밖에 없다"면서 "6.8%였던 수수료를 1%p 인하했다며 소상공인과의 상생을 운운하지만, 2018년 영업손익이 흑자였던 것이 2019년에는 적자로 돌아서면서 영업손실을 만회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협의회 측은 "배달의민족이 수수료 0원 정책을 내세웠을 때, 많은 소상공인들이 이를 환영하며 배달의민족에 가입했고 소비자들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중심으로 간편하게 다양한 업체를 선택할 수 있었다"라면서 "5년이 지난 지금, 배달의민족은 배달 플랫폼 독과점을 등에 업고 자사 이익만을 우선해 상생이라는 사회적 책임을 외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나아가 소상공인에게 부과되는 수수료 부담은 최종 수요자인 소비자의 몫으로 고스란히 돌아간다"면서 "소비자들은 이제 배달비라는 새로운 형태의 비용을 지불해야만 하는 상황이 됐다. 혁신이라는 이름으로 소비자에게 또 하나의 부담을 지우지 않도록 정부 당국의 시장질서 확립과 관리감독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고 촉구했다.

[컨슈머치 = 전정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