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목적차량의 수요 급증 및 수입차 인기…하반기 국내판매 견조한 증가 기대

[컨슈머치 = 이용석 기자] 2014년 경기침체와 세월호 여파로 내수 부진을 염려하던 국내 자동차 시장이 전망과 달리 전년 상반기 대비 7.3%의 성장을 기록했다.

전체적인 흐름은 현대차의 굳건한 1위 수성과 쉐보레ㆍ르노삼성ㆍ쌍용차의 선전, 여가생활을 위한 다목적차량의 수요 증가, 수입차 시장의 성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자리지킨 현대차 vs 선전하는 ‘쉐보레', '르노삼성', '쌍용차’

2014년 6월의 국내에서 판매된 자동차(수입차 포함)의 비율은 현대자동차가 87.3%를 차지하며 변함없는 점유율을 보여줬다. 특히 국민 브랜드 ‘소나타’는 신형소나타(LF)가 2만 9153대의 판매고를 기록하며, 총 5만 4785대 판매를 기록해 국내 판매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하지만 2014년 상반기 실적을 종합해 보면 현대차가 전년동기 대비 6.4% 성장에 그친 반면에 한국지엠은 10.4%, 르노삼성차은 40.5%, 쌍용차는 13.5% 판매를 늘렸다.

절대적인 숫자를 비교하면 여전히 큰 차이를 보이지만 그동안 현대차의 독주를 생각하면 판매량 하위 3개 업체의 상반기 실적은 주목할만 하다.

상반기 판매순위 3위의 한국지엠 쉐보레는 11년 만에 최고 실적을 올렸다. 특정 차종이 아닌 전 차종의 고른 성장세가 눈에 띄였다.

르노삼성차는 복덩이 ‘QM3’가 3월 출시 이후 8466대를 팔리면서, 40.5%의 놀라운 실적 상승을 달성했고 덕분에 국내 판매 4위 자리를 되찾았다.

쌍용자동차는 6월 실적이 주춤했지만 ‘코란도C’등 다목적차량 열풍과 신형모델 출시 등으로 상반기 13.5%의 판매 상승을 이끌었다.

여가생활의 재발견, 다목적차량의 급증하는 수요

흔히 SUV, RV 등으로 표현하는 다목적차량은 2014년 상반기 캠핑 등 아웃도어 활동 열풍에 힘입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인기를 누렸다.

지난 3년간 다목적차량의 상반기 국내 판매점유율을 살펴보면 2012년 24.5%, 2013년 29.8%로 점차 상승해 2014년 상반기 32.9%를 기록하며 차량대수도 19만 2665대로 20만 대를 눈 앞에 두고 있다.

올해 상반기 다목적차량은 쉐보레 '올란도' 37.4%, 기아차 '스포티지' 28.7% 쌍용차 '코란도스포츠' 28.3% 순으로 전년동기 대비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다목적차량 수요 급증과 맞물려 각 사의 다양한 차종들이 출시되면서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혔다.

독일 수입차 전성시대, BMW를 쫓는 폭스바겐, 벤츠, 아우디

2014년 상반기 국내 판매 수입차는 전년동기 대비 26.5%라는 큰 성장을 이뤄냈다. 매월 신규 수입차 등록대수를 경신하고 있으며, 올해 상반기에는 10% 점유율을 돌파하면서 승승장구하고 있다.

특히 국내 소비자들은 독일 제조차량에 대한 애착이 유별나다.

상반기 판매점유율 1위부터 4위는 BMW, 폭스바겐, 메르세데스-벤츠, 아우디 등 모두 독일 제조사 자동차로 올해 상반기에만 브랜드 별로 1만 대가 넘는 판매고를 기록했다.

국내 수입차 점유율을 살펴보면 국산차와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부동의 1위를 지키던 BMW는 2014년 상반기에 전년동기 대비 21%의 성장을 보였지만, 가까스로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쫓는 폭스바겐은 전년동기 대비 41.4%, 메르세데스-벤츠는 42.8%, 아우디는 44%로 전체 수입차 점유율 성장폭을 크게 상회하는 판매 성장을 기록했다.

특히 이 3사의 2014년 6월 판매량을 전년동월과 비교하면 모두 50%가 넘는 판매 성장을 기록해 BMW를 향한 추격은 현재진행형인 것으로 보인다.

2014 하반기 전망

산업통산자원부는 2014년 상반기 자동차업체 실적을 발표하면서 내수 판매의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차의 ‘AG’, 기아차의 ‘쏘렌토’ 후속모델, 르노삼성차의 ‘SM5’ 디젤 등 국산 신차와 한-EU FTA 추가관세 인하로 인한 수입 신차들의 선전을 그 이유로 꼽았다.

또한 상반기에 다목적차량을 비롯 승용차 시장에서도 쉐보레 ‘말리부’, 현대차 ‘그랜저 디젤’ 등 디젤 차량의 성능 개선으로 인한 열풍이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