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치 = 이우열 기자] 최근 가장 안전한 SNS로 평가받던 ‘텔레그램’이 해킹당했다.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텔레그램은 이란에서 해킹 공격을 받았고, 약 1,500만 명에 달하는 이란 사용자들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이란 내 텔레그램 이용자는 2,000만 명 규모인데, 거의 대부분에 달하는 사용자들의 전화번호와 대화 내용 일부가 유출된 것.

이번 사건의 배후는 ‘로켓 키튼’이라는 해킹 단체다.

일각에서는 해킹 수법의 유사성 등을 이유로, 이 단체가 이란 정부의 지원을 받았을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이를 두고 지난 2014년 우리나라에서 카카오톡 감청 논란으로 인해 벌어진 사이버 망명 사태가 회자되고 있다.

정부가 사건 수사에 있어 카카오에 관련 자료 협조를 요청했고, 카카오가 이를 받아들이며 소비자들의 비난 여론이 들끓은 바 있다.

이에 국내 소비자들이 관련 규제 범위 밖인 외국 서버 기반 SNS로 대거 이동하며 텔레그램을 선택한 것.

당시 약 100만 명 이상이 텔레그램으로 사용 메신저를 갈아타는 등 추세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한편, 최근 카카오가 투명성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는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정부 및 수사기관이 자사 측에 요구한 자료 요청 횟수등이 담겼다.

카카오는 지난해 10월부터 통신제한조치 협조를 재개해오고 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다음의 통신제한 조치는 18건, 카카오의 통신제한 조치는 15건이다.

카카오톡 관련 압수수색영장은 2,255건 중 1,809건이 처리됐고, 이 과정에서 26만1,884 개 계정이 제공됐다.

다만, 다음과 카카오 모두 통신자료 요청 건에 대해서는 응하지 않았다.

통신제한 조치란 수사 대상자의 전기통신을 감청하는 것을 말한다.

이 때 카카오는 대상자의 단체 대화방 등에 있어 상대방 정보는 익명화해 제공하며, 수사 기관은 범죄 관련성에 따라 관련 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물론 감청 자료 요청에는 합당한 이유가 있겠지만, 소비자들은 나 자신도 감청당할 것이라는 불안함을 느끼게 된다.

지금 이 순간도 개개인의 컴퓨터가 해킹에 노출돼 있을 수 있고, 어디서 누군가가 당신의 스마트폰 화면을 지켜보고 있을 수도 있다.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기술 시대에 살고 있는 요즘 시대,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 안전하다는 말은 어불성설일지 모른다.

어느 누구라도 피해자가 될 수 있으며 요즘 세상에서 그 수 또한 수백, 수천만에 이를 수 있다.

안전지대는 없다. 사이버 보안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소비자 스스로가 보안 의식을 강화해야만 한다.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