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치 = 이우열 기자] 최근 소니코리아가 자사 제품들의 온라인 판매가격을 통제해 온 것이 밝혀지며 많은 소비자들에게 충격을 안겼다.

소니코리아는 일본 소니의 자회사로, 우리나라에 카메라와 캠코더 등 전자제품들을 정식 수입및 판매하는 업체다.

현재 국내는 물론 전세계 카메라 시장은 소니와 더불어 니콘, 캐논 등이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다.

방통위 자료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소니는 국내 캠코더 시장에서 점유율 84%로 압도적인 1위, DSLR과 미러리스 등 렌즈교환식 디지털 카메라 시장에서는 20%로 2위 사업자다.

특히, 미러리스 카메라 같은 경우 높은 휴대성과 깔끔한 디자인 등을 내세워 과반수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이렇듯 거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소니코리아가 지난 2011년 2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약 2년간 자사 제품의 온라인 최저 가격을 기기 권장소비자가의 5~12%로 미리 정하고 그 이하로 팔지 못하게 했다.

방통위 조사에서 문제가 됐던 기간이 공개됐지만, 그 외 기간에도 가격 통제가 이뤄졌는지는 미지수다.

최저 가격을 통제한 것 뿐만 아니라 이를 지키지 않는 대리점에는 불이익도 줬다. 자신들의 가격 통제를 잘 지키는지 감시하기 위해 별도의 인력도 사용했다.

이를 지키지 않은 곳은 ‘우수 대리점’이라는 이름을 수여했다. 그런데, 말만 ‘우수’일 뿐 자신들이 알아보기 쉽게 이름을 붙여놓은 것이다. 소니코리아는 이들에게 경고와 함께 장려금 차감 등 불이익을 줬다.

소비자들은 ‘우수’대리점으로 소개된 업체들의 간판을 믿고 제품을 샀을 터인데, 정작 기업에서 불량 대리점이라며 찍어놓은 낙인에 불과했다.

상품 가격을 놓고 다수 업체들이 모여 담합 하는 것도 아니고, 특정 기업이 유통업체들의 가격 경쟁을 차단하고, 매출을 위해 자신들의 제품 가격을 통제했다는 사실이 한편으론 옹졸해 보인다.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에 이르는 전자제품에 가격 통제를 걸어야했을 만큼 매출 증대가 중요했다면, 조금 더 저렴한 가격에, 좋은 마케팅 전략을 써서 더 많이 팔아보자는 방향을 내세웠다면 어땠을까.

소니는 글로벌 기업이다. 뛰어난 기술력과 일본 전자제품 특유의 우수성으로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기업이기도 하다.

그런 기업일수록 소비자는 브랜드를 믿고 제품을 구매한다. 이번 사건으로 인해 국내 소비자들에게 있어 소니코리아가 떨어뜨린 소니의 브랜드 이미지 하락 폭은 상당할 것이다.

이미 시정명령과 3억600만 원의 과징금 조치는 취해졌다. 소니코리아가 소비자들의 마음을 되돌리고 떨어진 소니의 브랜드 이미지를 회복하는데는 이를 어떻게 수습할 것인지에 달렸다.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