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치 = 김은주 기자] TV나 언론에서 보이스피싱 피해자들의 사례 접하면 나하고는 상관 없는 남의 일 같게만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라면 절대 저런 허술한 사기에 속을 일 없다는 확신 때문인데요. 게다가 그 동안 수 많은 보이스피싱 범죄 사례를 접한 우리 국민들에게 참 많은 내성이 생겼죠.

그러나 방심할 수 없습니다. 보이스피싱이라는 범죄가 회자된 지 어느덧 10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곳곳에 수 많은 피해자들이 발생하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막상 본인에게 닥치면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는 보이스피싱 사기사건, 이를 막기 위해 금융감독원에서 알려주는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정부기관에서 전화로 자금이체를 요구?

이제는 누구나 아는 사실! 검찰, 경찰, 금감원 등 정부기관은 어떠한 경우에도 전화로 자금의 이체 또는 개인의 금융거래정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본인은 정부기관 관계자로 사칭해 전화를 건 뒤 대포통장 등 범죄 사건에 연루됐다며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를 요구하거나 안전조치 등을 명목으로 자금의 이체 등을 요구하는 경우는 100% 보이스피싱입니다.

이러한 전화를 받는 경우 당장 전화를 끊고 해당 기관의 대표전화로 전화해 사실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전화 혹은 문자로 대출 권유?

전화 또는 문자를 통해 오는 대출광고는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일 가능성이 상당히 농후합니다.

실제로 대출이 필요한 경우라도 금융회사의 실제 존재여부를 확인한 작업이 우선이며, 대출을 권유하는 사람이 해당 금융회사의 직원인지 또는 정식 등록된 대출모집인인지 여부를 확실히 확인하세요.

대출 처리비용 등을 이유로 선입금 요구?

정상적인 금융회사는 전산비용, 보증료, 저금리 전환 예치금, 선이자 등 어떠한 명목으로도 대출과 관련해 선입금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을 반드시 기억하세요.

저금리 대출 위한 고금리 대출 권유?

마찬가지로 저금리 대출을 받기 위해서 고금리 대출을 먼저 받으라고 요구하는 금융회사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저금리 대출을 받기 위해 거래실적을 쌓아야 한다는 핑계로 고금리대출을 먼저 받으라고 하는 경우는 100% 보이스피싱입니다.

자녀 납치 혹은 협박 전화?

정부기관이나 금융기관 사칭보다 더욱 속아넘어가기 쉬운 사례가 바로 가족이나 자녀들의 신변 위협 보이스피싱인데요.

자녀가 다쳤다거나 납치됐다는 전화를 받으면 그 누구라도 침착한 대응이 어려워지기 마련이죠.

하지만 사기범의 요구대로 급하게 금전을 입금하기 보다는 경찰서나 지인들의 연락처를 이용해 자녀가 안전한지 여부부터 확인하는 게 중요합니다.

채용 이유로 계좌 비밀번호 등 요구?

요즘은 취업이 간절한 취준생들을 울리는 보이스피싱 사례도 많습니다.

채용도 되기 전 급여계좌 개설 또는 보안관련 출입증 등에 필요하다면서 체크카드 및 금융거래정보(비밀번호, 공인인증서, OTP 등)를 요구하는 경우인데요.

급여계좌 등록은 실제로 취업된 후에 이뤄지는 것이지만 채용도 전에 요구하는 기업은 없습니다. 또한 정상적인 기업이라면 본인 명의 계좌번호만 요구할 뿐 비밀번호나 OTP 등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