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톡스 지난해 韓 이어 美 소 제기…기술도용 VS 진실규명 '팽팽'

[컨슈머치 = 송수연 기자] 메디톡스와 대웅제약의 진흙탕 싸움이 또 다시 시작됐다.

지난해에 이어 ‘보톡스 균주 기원’을 둔 분쟁이다. 현재는 해외 소송전으로 싸움이 번졌다. 지난해까지 메디톡스는 자사 보톡스 균주 도용에 대한 의혹을 제기했으나 현재는 ‘훔쳤다’고 확신하는 분위기다.

▶메디톡스 “균주 도용” 주장

지난 7일 메디톡스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렌지카운티 법원에 대웅제약과 대웅제약의 미국 파트너사인 알페온 등을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메디톡스 측은 자사에 근무하던 전 직원이 대웅제약에 자사 균주와 제조공정 정보를 제공하고 1억3,000만 원을 챙겼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번 소송 취지에 대해 메디톡스는 대웅제약 등 피고소인이 훔쳐간 보툴리눔 톡신 균주로 인해 침해된 지적 재산권을 반환받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에는 메디톡스가 균주 도용 혐의로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지난해 말에도 한 차례 수사를 요청한 바 있으나 당시 제기한 진정 건에 증거를 추가로 확보해 또 한 번 의뢰했다.

이 분쟁은 지난해 10월부터 시작됐다. 대웅제약의 ‘나보타’ 균주가 메디톡스 ‘메디톡신’과 같은 유전자 정보를 가진 것이 밝혀지면서, 대웅제약이 기술을 도용했다고 주장해왔다.

메디톡스는 메디톡신이 전체 염기서열 등 유전정보를 공새하며 대웅제약에도 균주 출처를 공개하라고 촉구해왔고, 올 초에는 ‘보톡스 균주 출처’ 공개를 촉구하는 메시지를 담은 광고를 론칭하기도 했다.

메디톡스와 대웅제약은 보톡스 제품으로 '메디톡신', '나보타'를 각각 보유 중이다.

보톡스 제재는 미간 주름 개선 등 미용성형 시술과 치료에 쓰이는 바이오의약품이다. ‘보톡스’는 보툴리놈톡신 제품을 일컫는 말로 통용되며 보톡스 균주는 보톡스 제품의 핵심 원료다.

▶대웅제약 “끝까지 진실 밝힐 것”

대웅제약은 메디톡스의 주장은 ‘허위’라며 반박하고 나섰다.

메디톡스는 지난해 10월부터 현재까지 대웅제약을 상대로 보툴리눔 균주 출처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며 보툴리눔 균주 전체에 대한 염기서열 공개를 촉구했다.

이유는 메디톡신이 출시 된 후에 나온 대웅제약 ‘나보타’의 보톡스 균주가 메디톡신의 균주와 똑같은 유전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 된 후로부터 갈등은 시작됐다.

그때마다 대웅제약은 ‘사실무근’이라며 독자 개발해 왔음을 지속적으로 밝혔다.

이번 일에 대해 대웅제약은 “법적절차에 따라 정상적으로 허가 받은 나보타를 지속적으로 흠집내기를 해 왔다”며 “그 동안 메디톡스 측이 국내 수사기관에 의로한 건이 모두 혐의없음으로 내사종결 됐다”고 설명했다.

대웅제약은 메디톡스가 국내에서의 지속적 의혹제기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성과가 없자 미국에서 민사 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보인다며, 나보타 해외 진출을 방해하려는 의도는 아닌지 의심스럽다는 입장이다.

대웅제약은 "메디톡스의 지속적인 음해에 대해 대응할 가치를 못 느꼈으나, 이번 소송에 대해서는 적극 대응할 것"이라며 "법적 조치를 포함해 모든 책임을 철저하게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나보타 美 진출 문제 없나…그 영향은?

현재 대웅제약은 파트너사인 알페온을 통해 미국 FDA 허가신청을 완료했다.

메디톡스가 대웅제약뿐 아니라 파트너사인 알페온에 대해서도 소제기를 한 탓에 여론은 ‘나보타’ 미국 진출에 걸림돌이 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대웅제약 측은 미국 진출에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예견했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아직까지 당사나 알페온 쪽으로 소장이 도착하지 않았다”면서 “나보타 진출은 무리 없이 진행될 것으로 보이고, 진출 마무리까지 문제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소송의 경우 최소 1년에서 2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논란은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내놨다.

이혜린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소송 이슈는 장기화 되겠지만 미국 파트너사인 알패온과 계약파기로 이어지지는 않을 전망”이라고 설명하고 “이번 이슈가 보톡스제제인 나보타의 미국진출 불발과 같은 비관적인 시나리오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소송 과정에서 다양한 이슈가 있을 수 있다”면서 “재판 준비기간만 최소 4개월 안팎이고 1심 결과가 나오기까지 1년 이상 소요될 전망이기 때문에 소송이 접수될 경우 주가 불확실성 기간이 길어지는 것이 최대 리스크”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