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치 = 김현우 기자] 올해 국내 자동차 리콜 규모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전망이다.

최근 국내 자동차 업계는 과거에 비해 차종이 다양해지고, 차량에 최첨단 기술들을 적용하면서 하루가 다르게 고도화, 정밀화 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그만큼 제작결함이 발견될 가능성도 높아진 것이 사실이다. 향후에도 리콜 규모는 지속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중요한 문제는 리콜 규모가 상승하는 가운데 리콜이행률은 저조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다.

심지어 리콜이행률 자체가 공개되지 않아 현황을 파악하는 것조차 쉽지 않다는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리콜 대상 차량 중에서 무상 수리나 부품 교환 등 조치를 받은 차량은 전체 대상 차량의 70%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알려졌다.

다시말해 지난해 결함이 발견된 차량 10대 중 3대는 도로 위를 달리고 있는 것이다.

리콜은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해 실시한 경우도 있지만 심각하게는 주행 중 시동꺼짐, 에어백 미전개, 화재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발견돼 리콜을 명령한 경우도 많다.

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는 위험이 도로 곳곳에 펼쳐져 있지만 소비자들은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

하지만 국내에는 제조사에게 리콜 이행을 강제할 수 있는 법적인 규제는 없다.

게다가 제조사들은 내부정보라는 이유로 정확한 리콜이행률도 공개하지 않고 있어, 당장 조치가 이뤄지지 않은 차량이 얼마나 있는지도 가늠하기 어렵다.

우리는 거의 매일 자동차 사고 소식을 접하면서 그 피해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고 있다. 제작 결함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한 다음에는 돌이킬 수 없는 문제이다. 반드시 사전에 예방해야 할 문제이다.

리콜이행률을 높이기 위해서 제도 개선이 절실한 부분이다. 하지만 그에 앞서 제조사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이 촉구한다.

제조사들은 자사의 리콜이행률 공개와 함께 리콜에 대해서 끝까지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리콜이행률이 낮다면 이를 보다 적극적으로 알려 결함 차량이 운행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높은 리콜이행률은 공개만으로도 제조사의 책임감을 홍보할 수 있는 동시에 소비자들은 안심시킬 수 있다.

물론 차량 결함에 대한 언급이 부담스러운 것은 사실이지만, 발생하는 결함이 쉬쉬한다고 감춰지는 것은 결코 아니다.

리콜 없는 안전한 자동차를 만드는 것이 최우선이지만 이미 발생한 리콜에 대해서 진정성 있는 대처로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면 극심한 경쟁 속에 있는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중요한 열쇠를 찾은 것과 다름없다고 본다.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