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금 상향 예약구매고객 '뒤통수'…고가 요금제 아니면 지원금 혜택 미비

[컨슈머치 = 이용석 기자] 대한민국 스마트폰 제조사 삼성전자의 플래그십 모델 갤럭시S6는 왜 우리나라에서만 성적이 저조할까.

지난 3월 초 대중들에게 공개된 갤럭시S6는 지난해 실적을 단번에 만회하려는 듯 강렬한 디자인과 뛰어난 기능을 선보이며 스마트폰 시장에 등장했다.

갤럭시S6에 대한 연이은 호평에 지난 1일부터 시작된 사전 예약 판매도 성공적이었다. 하지만 딱 거기까지였다. 과연 문제는 무엇일까.

   
 

▶충성고객 호갱만든 '지원금 인상'

갤럭시S6의 흥행 성공을 기다리는 이들은 비단 삼성전자만이 아니었다.

이동통신사들과 유통 일선에 있는 중소형 판매점주들은 단말기 유통법 시행 후 침체됐던 국내 통신시장에 갤럭시S6가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를 기다렸다.

이러한 기대에 부응이라도 하듯 갤럭시S6 출시를 이틀 앞둔 8일 방송통신위원회는 지원금 상한액을 30만 원에서 33만 원으로 인상하면서 시장의 기대는 한껏 달아올랐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자 예상보다 갤럭시S6 반응이 신통치 않았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삼성전자나 이동통신사들은 지원금을 늘려 판매를 촉진하고자 발 벗고 나섰다.

출시 일주일이 지난 17일 KT는 갤럭시S6(32GB) 최대 지원금을 기존 21만1,000원에서 32만7,000원으로, LG유플러스는 30만4,000원으로 공시했다. 다음날 SK텔레콤 역시 기존 13만 원에서 11만8,000원 오른 24만8,000원으로 책정했다.

하지만 이 결정은 출시 전부터 ‘삼성전자’, ‘갤럭시S’라는 브랜드를 보고 사전예약을 통해 구매한 충성고객들을 호갱(호구+고객)으로 만들었다.

예약가입을 통해 구매한 김 모씨는 “아이폰6 플러스에 눈길이 가기도 했지만 갤럭시S6에 대한 기대감으로 기다리던 중에 사전예약을 통해서 구입했다”며 “나름 충성고객으로 비싼 가격도 감수하면서 구매했는데 일주일만에 뒤통수를 치는게 말이 되느냐”며 분통을 터트렸다.

공교롭게도 할부거래법에서 청약철회가 가능한 7일의 기한이 만료된 직후 지원금 상향이 발표돼 소비자들의 배신감은 더 크게 다가왔다.

지원금이 일주일 사이에 10만 원이 바뀌면서 소비자들은 언제 다시 변할지 모르는 지원금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결국 구매에 소극적인 모습을 고수하고 있다.

때문에 업계 관계자들은 이달 말 출시를 앞둔 LG전자 'G4'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지원금 상향에도 소비심리 '요지부동'

충성고객을 호갱으로 만든 것도 문제지만 ‘갤럭시S’의 등장에도 꿈쩍않는 국내 이동통신시장은 더 큰 문제다. 단통법 시행 이후 단말기 체감 구매가격이 높아졌다는 소비자들의 불만은 시장에 그대로 반영됐다.

그간 삼성전자의 플래그십 스마트폰은 출고가가 100만 원에 육박한데 비해 오히려 갤럭시S6 출고가는 32GB 기준 85만9,000원으로 저렴함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반응은 냉담하다.

방통위가 지원금 상한선을 3만 원 상향했는데 효과가 없었을까.

단말기 지원금이 33만 원이라면 출고가 85만8,000원인 갤럭시S6(32GB)를 구입할 때 대리점 지원금(15%)까지 포함하면 최대 지원금을 37만9,500원을 받을 수 있다. 단순한 계산으로 갤럭시S6를 47만8,500원이면 구입할 수 있다.

문제는 이 최대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매월 10만 원에 육박하는 요금제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올해 2월과 3월 이동통신 가입자 중 6만 원대 이상 요금제를 사용하는 이용자는 전체의 10%에 불과해 소비자 10명 중 9명은 최대 공시지원금을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양천구에 사는 박 모씨(31)는 “방송과 언론을 통해 지원금 상향됐다고 하면 무슨 소용인가. 누가 지원금 30만 원 받겠다고 매달 10만 원씩 내는 요금제를 가입하겠나. 저가 요금제에 비례하면 지원금은 극히 미비하다”고 불만을 쏟아냈다.

더욱이 방통위의 지원금 상한선은 말 그대로 상한선일뿐 이동통신사가 지원금을 올린다는 보장도 없다. 또한 지원금이 언제 어떻게 변동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더욱더 스마트폰 구매를 꺼리는 상황이다.

한편, 단통법이 6개월을 지나면서 다양한 의견들을 나누는 자리가 마련되고 있다.

지난 15일 ‘2015년 제1차 ICT 정책고객 대표자 회의’에서는 미래부와 업계, 학계 인사가 모여 단통법의 성과와 과제를 논의했고, 지난 21일에는 전병헌 국회의원 주최로 열린 ‘단통법 6개월 진단’ 토론회에서도 기업과 소비자단체, 유통업계 등이 모여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