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치 = 김현우 기자] 최근 광주광역시가 현대차 이외에 노동계까지 포함해 투자협상 체계를 꾸리면서 급물살을 타게 된 ‘광주형 일자리’에 대해 현대차 노조가 ‘재추진 논의 중단’을 요구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전국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이하 현대차 노조)는 지난 28일 보도자료를 내고 “광주지역 노동계는 국내 자동차산업 노동자를 위협하는 ‘광주형 일자리’ 재추진 참여 논의를 중단해달라”고 밝혔다.

현대차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가 추진될 경우 “자동차 판매 감소 추세, 통상 마찰, 한국 자동차산업 위기 속에 광주형 일자리 추진은 국내 자동차산업 파국을 불러오며 풍선효과로 다른 지역 일자리 1만2,000개가 사라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노조는 “연간 14만 대 규모에 불과한 한국 경차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라며 “광주형 일자리로 경차를 연간 10만 대 추가 생산하면 한국지엠 공장이 있는 경남 창원시가 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되고 이어 울산시도 타격을 입게 돼 한국 자동차공장 모두가 위기에 빠진다”고 말했다.

현대차 노조의 주장을 정리하면 “광주형 일자리 생산 차량의 등장이 시장의 성장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기존 시장의 파이를 나눠먹는 것에 불과해 결국 공멸하게 될 것이니, 공장 설립을 중단하라”는 것이다.

출처=현대차 노조
출처=현대차 노조

하지만 업계 관계자 및 전문가는 노조의 우려와는 정 반대의 의견을 내놓았다.

업계 한 관계자는 “1990년대 독일 슈투트가르트처럼 지방정부와 기업, 노동자, 시민단체의 경제활성화 합심 노력이 좋은 결실을 본 사례는 여럿 있다”며 “광주형 일자리가 단순히 4,000만 원짜리 일자리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라는 생각을 고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광주형 일자리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일자리의 질적 향상을 달성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으로 생산단가가 낮아지면서 소비자가 받게 될 가격적 혜택을 기대할 수 있으며 ▲향후 전기차로 재편될 세계 자동차 시장을 대비할 국내 전기차 생산 기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우선 공공부문 비정규직 일자리 질적 향상이 가능한 이유로는 자동차 공장의 지분 대부분을 지자체가 갖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했다.

일종의 공공시설로 볼 수 있는 광주형 일자리 시설의 청소, 시설관리, 주차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을 정년이 보장되는 공무직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광주시는 지난해 2월 시 청사의 청소·시설관리·주차 업무 등을 맡은 76명을 정년이 보장되는 공무직으로 전환한 바 있다.

또 광주형 일자리의 경우 근로자 1인당 연간 임금을 4,000만 원 수준으로 예상한다. 이는 현재 완성차 업체 근로자 평균 임금인 8,000만~1억 원의 절반 수준이다. 현대차의 경우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이 15%가 넘어 차량 판매 가격이 올라갈 수밖에 없는 구조인데, 광주형 일자리는 인건비가 절반에 불과해 소비자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차량을 구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 세계 자동차 시장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 현재, 광주형 일자리가 국내 전기차 생산의 전초 기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은 가장 주목할 부분이다.

전기차 생산을 위해서는 전용공장이 필요한데, 광주형 일자리 지부에 이 공장을 설립한다면 굳이 해외로 나갈 필요가 없다. 또 전기 차량과 관련된 업체들이 광주로 오게 되면서 지역 경제가 살아나는 것은 덤이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과 교수는 “광주형 일자리의 원조 격인 일본 토요타자동차의 기타큐슈 미야타 공장의 사례 등 지자체와 기업, 노동자가 힘을 합쳐 지역경제와 산업을 일으켜 세우는데 성공한 사례는 많다”며 “노조는 경차 시장 포화로 공멸한다고 주장하는데, 실상은 자신들의 보이지도 않는 미래 일자리가 위축될까 걱정하는 것 뿐”이라고 밝혔다.

이어 김 교수는 “노조는 경영에 간섭할게 아니라 고용이나 복지 증진에 초점을 둬야하는데, 지금 노조의 행태는 현대차 경영에 감놔라 배놔라 관여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만약 광주형 일자리가 실패할 경우 국내 자동차산업은 더 이상 가망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