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미세먼지 마스크 선택 및 착용법

[컨슈머치 = 김은주 기자] ‘콜록 콜록’ 사무실 안 여기저기 기침소리가 잦아졌습니다.

갈수록 나빠지는 대기질 때문에 기관지 건강에 빨간불이 켜진 현대인들에게 벚꽃의 계절 봄은 언젠가부터 불청객이 돼버렸습니다. 혼자 오면 참 반가운데 언젠가부터 단짝처럼 꼭 ‘황사’까지 데려오니 말이죠. 여기에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까지 사방에 건강을 위협하는 녀석들 천지입니다.

한국환경공단은 미세먼지를 농도에 따라 ▲좋음(0~30㎍/㎥), ▲보통(31~80㎍/㎥), ▲나쁨(81~150㎍/㎥), ▲매우나쁨(151㎍/㎥~)으로 나누는데요. 올 봄 서울 미세먼지 농도가 300을 웃도는 것을 보고 두 눈을 의심한 분들 많으시죠?

미세먼지 등급이 '매우 나쁨' 수준인 농도 162㎍/㎥ 상황에서 성인 남성이 야외에서 1시간 활동했을 경우 2000CC 디젤차 매연 3시간 40분, 혹은 8평 정도 작은 공간에서 담배 연기를 1시간 24분 동안 마신 것과 동일한 셈이라고 하니 절대 무시할 수 없는 건강의 ‘적’입니다.

황사·미세먼지가 심할 때는 야외 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어디 그게 뜻대로 되는 일 인가요. 그래서 부득이 외출을 할 경우 호흡기 보호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대응 방법 중 하나가 바로 마스크를 착용이죠.

그런데 마스크를 쓰면 불편한 것도 문제지만 혼자만 튀는(?) 느낌이 들어 꺼려집니다. 유난 떤다는 주변 시선이 부담스럽죠.

그래도 최근 들어 인식이 많이 바뀌면서 길거리에서 마스크 착용하고 계시는 분들을 더러 볼 수 있어 반갑기도 한데요. 오히려 나이 드신 어르신 분들 보다 젊은 친구들이 경각심을 갖고 마스크를 잘 착용하고 다니는 것 같습니다.

마스크 착용의 온전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능성 제품을 선택하고 착용 방법 정확히 알고 있는 것도 중요합니다.

실제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마스크의 용도를 제대로 구분하지 않고 있죠. 흔히 사용하는 면 마스크는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기능적 역할을 못하기 때문에 미세먼지 차단 기능이 있는 황사 마스크를 선택해야 합니다.

특히 제품 포장에 ‘의약외품’, ‘식약처 허가 KF80 또는 KF94, KF99’ 등 표기를 꼭 확인해 주세요. 여기서 KF는 ‘Korea Filter’의 약자로 미세먼지 차단 효율을 의미합니다.

기껏 차단력이 우수한 제품을 사놓고 제대로 착용하지 않아 미세먼지를 마시게 된다면 그만큼 안타까운 일도 없을 겁니다. 마스크를 착용할 때에는 마스크로 턱부터 코까지 완벽히 가리도록 하고, 양 손으로 코 부분이 밀착되도록 코 지지대를 꾹 눌러주세요. 그리고 공기가 새지 않는지 체크하면서 안면에 밀착되도록 조정하면 됩니다.

마스크를 착용한 후 마스크 겉면을 손으로 자주 만지거나, 구기거나 찌그러트려 모양이 변형되면 특수 필터에 손상이 가해져 미세먼지 차단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주의하세요.

그리고 흔히 범하는 실수가 마스크를 재사용하는 것입니다. 황사 마스크는 1회용입니다. 한 번 사용하면 겉면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먼지가 묻게 되는데, 재사용 시 정전기 필터 기능이 떨어져 온전한 효과를 얻기 어렵다고 하네요. 최대 이틀까지만 사용하고 새 제품을 이용하세요.

그렇다고 혹시나 마스크를 세탁해 쓰는 것도 금물입니다. 황사 마스크에 내장된 특수 필터가 손상돼 효과적인 사용이 어렵기 때문이죠.

가까운 약국이나 마트에서 약 3,000원 정도면 살 수 있는 황사 마스크. 당장 약간의 지출을 아끼려 하다 먼 훗날 더 큰 비용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하겠습니다.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