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치 = 이우열 기자] 최악의 상황을 모면한 삼성이지만 정상화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구속 영장신청이 기각되자 그간 밀려있던 다수의 현안들이 어떻게 결정날지 업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최악면한 삼성

지난 19일, 조의연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구속 영장신청을 기각했다.

뇌물 범죄에 대한 대가 관계, 부정 청탁 등에 있어 소명 정도와 사실 관계를 따졌을 때 법적 다툼의 여지가 있고, 현 단계에서 구속의 필요성이나 상당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삼성 측은 법원의 결정에 “진실을 가릴 수 있게 돼 다행”이라면서 “수사가 마무리될 때까지는 끝난 게 아니다”라고 입장을 내비쳤다. 여전히 이 부회장의 소환 가능성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삼성은 그룹 총수 구속이라는 최악을 면했지만, 기각까지 오는 과정에서 밀려 있던 과제들이 산더미다.

우선, 임원인사와 조직개편, 신년 경영전략 수립 등이 최우선 현안으로 꼽힌다. 2017년 상반기 신입사원 공채 계획 또한 수립조차 하지 못했다.

삼성은 대체로 매년 12월 초 임원인사를 단행했지만 최근 상황상 이를 진행하지 못했다. 일각에서는 설 연휴 이후에나 인사와 조직개편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보기도 했다.

반면 삼성의 정기 인사 및 조직개편은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조사가 끝난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는 입장도 있다. 그룹 임원들의 수사가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특검 수사가 더 우선이라는 것.

또한, 미래전략실 해체는 당분간 어려울 것이라는 게 업계 평가다. 이 부회장 및 삼성 임원들의 수사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래전략실의 주도 하의 비상경영체제가 필요하다는 이유이다.

앞서 이 부회장은 지난해 국회 청문회를 통해 미래전략실 해체를 공언했다. 업계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미래전략실 해체와 함께 고강도 쇄신에 대한 의지가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은 지난 2008년 이건희 회장 시절 비자금 특검 당시 전략기획실(현 미래전략실)을 해체한 전례가 있다. 이후 삼성은 각 계열사 독립경영체제로 운영돼다 2010년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미래전략실을 부활시켰다.

▶지주사 전환, 어려워졌다

최순실 게이트에 연루되면서 지주사 전환 이슈도 상황이 바뀌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 인적분할을 통한 지주회사 전환 가능성을 내비쳐 왔다. 올 상반기에는 지주회사 체재 도입에 대한 검토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었다.

그 사이 국회에서는 대기업이 지주사 전환 목적의 인적분할 시 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포함한 공정거래법 개정안 등이 발의되고 있다. 이 법안들이 통과될 경우 삼성전자의 지주사 전환에는 걸림돌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최근 박영수 특검팀이 삼성그룹이 청와대에 중간금융지주회사제도 도입을 위한 청탁 정황을 포착하면서, 이 제도의 도입도 불투명해졌다.

중간금융지주회사 제도는 공정위가 기업의 지주회사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발의한 제도로,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꼭 필요한 요소로 꼽힌다. 여러모로 시간이 지연될수록 삼성의 지주사 전환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신한금융투자 관계자는 “이번 공정거래법 개정안의 주목할 점은 자사주 의결권 제한을 이미 분할을 마친 기업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그 대상을 ‘상호출자제한 기업 집단’으로 한정한다는 것”이라며 “해당 개정안은 인적 분할을 통해 지배구조 개편을 꾀하고 있는 일부 대기업에게 상당한 불확실성을 안겨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특검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향후 계획에 대해 알 수가 없다"면서 "사장단 인사를 못해 임원 인사를 할 수 없고, 조직개편과 경영계획 등에 대한 사항들도 확정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