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치 = 김은주 기자]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중심으로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서 일본 관련 불매운동 대상 제품을 추가하고 대체품을 찾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불매 리스트가 급속도로 퍼지는 과정에서 일부 업체들은 자칫 잘못된 오해로 인해 피해를 입게 될까 서둘러 해명에 나서는 모습이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다이소와 쿠팡은 최근 온라인상에서 대표적인 일본계 기업으로 지목되며 불매운동의 타깃이 되자 일본과 무관다고 선을 긋고 나섰다.

이들 기업은 일본계 자본의 투자를 어느 정도 받고 있지만, 국내에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 성장을 이끌고 있는 명백한 한국 기업이라는 점을 강조 중이다.

지난 17일 쿠팡은 자사 뉴스룸 홈페이지를 통해 “쿠팡은 자랑스러운 한국 기업”이라며 “누가 헛소문과 거짓 뉴스를 만들어 퍼뜨리고 있는 것인지, 아마도 쿠팡의 성장을 방해하고 훼방 놓기 위한 일부 집단일 것으로 생각된다. 근거 없는 비난에 현혹되지 말고 계속 지금처럼 쿠팡을 아껴달라”고 호소했다.

일본의 경제 보복이 이후 쿠팡이 불매운동 기업으로 분류된 배경에는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약 30억 달러(약 3조5700억 원)가량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점이 영향을 미쳤다. 일본 기업으로부터 막대한 자금을 지원 받아, 실질적 최대주주가 일본인이기 때문에 일본기업이나 다름없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쿠팡 측은 KB금융의 외국인 지분이 70%, 삼성전자와 네이버의 외국인 지분율이 60%에 달하는 사례를 각각 들며, 쿠팡의 해외 투자 유치 또한 이들과 다를 바 없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쿠팡 관계자는 “해외 투자를 유치해 한국인을 위한 일자리를 만들고, 다양한 투자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면서 중소기업의 성장을 돕고 있다”며 “또한 쿠팡의 대규모 해외투자 유치 소식은 해외투자자들의 한국에 대한 관심도 늘렸다”고 말했다.

(출처=온라인 커뮤니티)
(출처=온라인 커뮤니티)

마찬가지 이유로 불매운동의 타깃이 된 생활용품 업체 다이소 역시 일본 기업 낙인이 억울하다는 반응이다.

일본 대창산업(다이소)이 지분 34%를 보유하고 있기는 하지만 경영권에는 전혀 간섭하지 않고 배당금만 챙기는 투자회사일 뿐이라는 설명이다. 나머지 지분 66%는 박정부 회장과 아성HMP 등 관계사가 보유하고 있다.

또한 판매 중인 제품의 70%가 국내 업체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으로, 일본 다이소 매장과 동일한 상품은 3%에 불과하다는 점도 적극적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밖에 판매 중인 제품 중 일부가 일본에서 들여온 브랜드이거나 일본산 원재료가 들어갔다는 소문이 돌면서 피해를 보고 있는 몇몇 국내 기업들도 이를 적극적으로 해명하느라 진땀을 빼고 있다.

롯데제과의 경우 국내 소비자들에게 오랜 기간 사랑 받고 있는 과자 제품인 ‘쌀로별’에 일본 후쿠시마 쌀을 쓴다는 의혹이 커져 한바탕 홍역을 치뤄야만 했다.

쌀로별에 사용되는 쌀 원산지가 '외국산'으로 표기돼 있는 것을 두고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일본산이 아니냐는 의혹이 급속도로 확산된 것이다.

이에 롯데제과 측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쌀로별은 정부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를 통해 공급하는 쌀을 사용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중국산 쌀을 배정받아 사용 중”이라면서 “정부가 가공식품원료로 공급하는 쌀은 ‘외국산’으로 표시할 수 있다는 「농수산물의 원산지표시 요령 4조」에 따라 ‘외국산’으로 표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기업 코카콜라가 국내에서 출시한 제품인 토레타도 불매 리스트에 올랐다. 토레타가 일본 코카콜라에서 처음 출시된 제품인데다 제품명 뜻이 ‘가져왔다’·‘취했다’라는 일본어에 기원한다는 점 등을 들어 일본 코카콜라사로 로열티가 흘러들어간다는 소문이 돌았기 때문.

이에 대해 코카콜라 측은 “토레타가 처음 일본에서 출시된 것은 맞지만, 한국인 입맛에 맞게 개발된 전혀 다른 제품”이라며 “브랜드 및 제품 상품권은 모두 본사에서 소유하고 있어 한국에서 판매되는 이익이 일본으로 귀속되는 부분은 전혀 없다”고 해명했다.

감숙왕으로 익숙한 글로벌 청과 기업 스미후루도 최근 일본 스미토모가 가진 지분 전량을 인수하고 독립 경영권을 확보해 일본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스미후루 관계자는 “책임 경영을 통한 사업기반 강화와 더 큰 성장이 이번 지분 인수의 가장 큰 이유”라며 “이는 2년 전부터 논의돼 결정된 상황으로 일본 불매운동과는 관계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