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스노보드 이용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5년간(2019~2023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스키·스노보드 안전사고는 총 1234건이다.

스키장 폐쇄 등 코로나19의 영향에서 벗어난 2021년(111건) 이후 매년 증가해 2023년에는 전년 대비 86.9%(206건) 상승한 443건이 접수됐다.

증가하는 스키장 안전사고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소비자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스키, 사고, 넘어지다, 상해, 고글(출처=PIXABAY)
스키, 사고, 넘어지다, 상해, 고글(출처=PIXABAY)

접수 건(1234건)에 대한 세부 원인을 살펴보면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1137건)가 전체의 92.1%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이어 부딪힘 56건(4.5%), 예리함·마감처리 불량 13건(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품목에 따른 연령별 안전사고를 분석한 결과, 스키와 스노보드 모두 ‘2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세부적으로는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었다.

스키는 ‘20대’가 257건(37.4%), ‘10대’가 157건(22.9%), ‘30대’가 88건(12.8%), ‘40대’ 82건(11.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노보드의 경우, ‘20대’ 256건(48.7%), ‘30대’ 124건(23.6%), ‘10대’가 99건(18.8%) 등의 순으로 주로(91.1%) 10~30대의 연령대에서 발생했다.

스키와 스노보드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주로 부상을 입는 부위가 다르다.

일반적으로 활강 중 넘어지면 ‘스키’는 옆으로 ‘스노보드’는 앞이나 뒤로 넘어진다.

이 과정에서 ‘스키’는 하체를, ‘스노보드’는 상체를 중심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부상 부위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키’를 타던 중 사고가 나면 ‘둔부, 다리 및 발’을 다치는 경우가 32.8%(224건)로 가장 많았고, ‘팔 및 손’의 부상이 21.4%(146건), ‘머리 및 얼굴’ 부상이 20.1%(137건) 등이었다.

활강 중 다리가 꺾여 정강이뼈가 부러지거나, 넘어지며 땅을 짚다가 손목이 골절된 사례가 확인됐다.

반면, ‘스노우보드’는 ‘팔 및 손’이 40.5%(213건)로 가장 많았고, ‘머리 및 얼굴’ 25.5%(134건), ‘목 및 어깨’ 17.3%(91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슬로프에서 내려오던 중 앞으로 넘어져 아래팔이 골절되거나, 뒤로 넘어져 뇌진탕을 입은 사례 등이 접수됐다.

스키·스노보드 사고의 대부분(92.1%)은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다.

한국소비자원은 "자신의 수준에 맞는 슬로프를 이용하고 안전하게 넘어지는 방법을 터득하는 것만으로도 큰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더불어 "스키나 스노보드의 특성상 스키 부츠와 바인딩 등 필수 장비의 유지·점검이 필요하다"면서 "장기간 사용·보관한 스키 부츠는 소재 특성상 열화로 인해 강도가 저하되고, 사용 중 마모로 인해 바인딩과의 결속력이 떨어져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 외에도 한국소비자원은 스키·스노보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소비자에게 다음과 같은 사항을 당부했다.

▲활강 전 방향 전환·속도 조절·넘어지는 방법 등 기초 교육 받을 것

▲자신의 수준에 맞는 슬로프 이용

▲자신의 유형과 치수에 적절한 바인딩이 설정됐는지 점검

▲오래된 스키 부츠와 바인딩은 열화 상태를 확인 및 중고 거래 시에는 열화가 진행된 노후 장비의 거래 피할 것

[컨슈머치 = 이용석 기자]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